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한화오션, ‘인도·태평양 MRO 허브’ 목표… 지역15개 회사와 함정 MRO 클러스터 협의체 구축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국내외 함정 정비 수요 증가 적극 대응 기조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동반 성장 지속 추진

한화오션(대표이사 김희철 사장)이 인도·태평양 지역 최고의 MRO(유지·보수·정비) 허브 구축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국내외 함정 정비 수요에 발맞춰, 지역과 함께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에 나선 것이다.

한화오션은 14일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서 '함정 MRO 클러스터 협의체' 착수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한화오션은 성동조선, SK오션플랜트 등 부산·경남 지역 조선소와 정비, 설비 전문업체 15개 社와 함정 정비산업 기반 구축과 지역 동반성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한화오션은 14일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서 15개 지역 협력사 대표와 어성철 한화오션 특수선사업부장(사장, 앞줄 왼쪽에서 6번째)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함정 MRO 클러스터 협의체’ 출범 행사를 가졌다. 한화오션 제공

한화오션은 14일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에서 15개 지역 협력사 대표와 어성철 한화오션 특수선사업부장(사장, 앞줄 왼쪽에서 6번째)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함정 MRO 클러스터 협의체’ 출범 행사를 가졌다. 한화오션 제공

AD
원본보기 아이콘

함정 MRO 클러스터 협의체의 핵심 목표는 한화오션과 지역 업체 간의 포괄적인 협력 체계 구축과 동반성장을 위한 파트너십 강화에 있다. 이를 위해 한화오션은 지역 조선소와 정비 전문 업체들의 협력 가능성과 전략적 파트너 가능성을 면밀히 평가한 뒤 차별화된 협업 전략을 추진한다.


전략적 파트너사로 선정된 업체들과는 초기 계약 단계부터 협력 내용을 세분화한 뒤 아이템별 진행 계획을 사전 공유할 계획이다.


함정 MRO 클러스터 협의체는 향후 ▲함정 MRO 사업 경쟁력과 사업 모델 개발 확장 ▲국내외 MRO 시장 진출 시 사전 협력 모델 발굴 ▲MRO 사업 관점의 장비 공급망(SCM) 확보 ▲사업 준비 기간 단축·리스크 최소화 ▲함정 유지보수 성능 개선·운영 가용성 향상 등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MOU를 체결한 15개 업체는 대부분 부산·경남·거제 지역의 조선 정비, 설비 업체이다. 한화오션은 세계 조선업계를 선도해오며 축적한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부산·경남·거제의 1000여개 기자재·부품 업체들과 함정 정비용 부품 생산 체계를 구축한 상태다.


특히 한화오션은 지난해 수주한 미 해군 7함대 소속 '유콘함(USNS YUKON)' MRO 사업에서 거제 지역의 중형 조선소 부지를 임대해 사전 수리 작업을 진행하는 등 지역 동반 성장의 길을 개척했다. MRO 사업 확장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유도하겠다는 취지다.


김대식 한화오션 특수선MRO사업담당 상무는 "함정 MRO 클러스터 협의체 구성을 통해 글로벌 방산과 지역 산업의 새로운 성장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며 "한화오션의 함정 클러스터를 인도·태평양 지역 최고의 MRO 허브로 만들고, 북미 지역의 MRO 시장에 진출하겠다"고 말했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국내 조선업계 최초로 미 해군 군함 2척에 대한 MRO 사업을 수주했다. 지난 3월 첫 번째 MRO 함정인 '월리 쉬라(USNS Wally Schirra)'호가 성공적인 정비 작업을 마치고 출항했으며, 연이어 수주한 '유콘함'은 5월 말 출항을 목표로 정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글로벌 함정 MRO 시장은 2024년 약 78조 7000억원 규모에서 2029년 86조 7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장 규모가 큰 미 MRO 시장은 약 20조원 규모이다.





영남취재본부 김철우 기자 sooro9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