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AEBS의 함정
교통안전공단, AEBS 시험결과 공개
자동차 첨단안전장치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비상자동제동장치(AEBS)가 어린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다는 시험결과가 나왔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이 14일 발표한 AEBS 작동 여부 시험 결과를 보면, 도로 가장자리 어린이 모형을 설치해 시험했을 때 차량 6대 모두 모형을 인지하지 못하고 통과했다. AEBS는 주행 중 충돌위험을 감지해 운전자가 적절히 반응하지 못할 때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충돌을 막거나 충격을 줄이는 장치다. 이론상으로는 모형을 인지해 속도를 줄이거나 멈춰야 한다.
공단은 국내 판매 중인 차량 가운데 첨단안전장치가 장착된 국산·수입차량 6종으로 시험했다. BMW의 320i와 iX3, 테슬라 모델Y, 폴스타 폴스타4, 기아 EV6, 르노 그랑콜레오스를 대상으로 했다. 차량이 전방에 정차해 있을 때를 가정한 시험에서는 모든 차량이 맞춰 정지했다.
차량 고장을 모사해 정차된 차량 뒤쪽에 사람이 있는 상황을 가정했을 때는 3개 모델은 멈췄고 3개는 충돌했다. 320i와 폴스타4, iX3가 충돌했다. 나머지는 차량만 감지해 인체 모형과 충돌 후 멈추거나 아예 인지하지 못해 충돌했다.
전방 교통사고 상황을 가정해 시험한 결과 3개 차종은 차량을 인식해 정지했고 3개 차종은 충돌했다. 폴스타4와 EV6, iX3가 부딪혔다. 교통사고 상황을 모사하기 위해 전방에 차량이 45도 각도로 주행 차선에 정차해 있는 상황을 모사했다.
이러한 시험 결과는 첨단안전장치에 의존할 경우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공단 측은 "자동차 모델별로 첨단안전장치가 전방 장애물을 인식하는 범위나 활성화 조건이 다르다"면서 "차량별 편차가 있는 점을 확인한 것으로 현재 기술로는 모든 교통상황을 차량 스스로 대응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용식 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첨단안전장치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조건에서 운전자를 지원하고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이기에 전방주시를 게을리하면 안 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첨단장치의 안전기준을 강화하고 자동차안전도평가에 적용하는 등 안전한 자동차 운행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설명했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