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인플레 우려 제한적" 美 4월 CPI, 2.3%로 둔화…올 여름 관세 영향권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4월 CPI, 전년比 2.3% ↑ '예상 하회'
상호관세 영향 제한적
재고 소진·관세 협상 결과 나오는 올 여름이 고비

미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둔화되며 예상을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 발효된 상호관세 영향이 첫 반영된 물가 지표로, 관세 정책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여파는 아직까지는 제한적이라는 평가다. 다만 기업들의 재고가 소진되고, 향후 관세 협상이 지지부진하면 올 여름 인플레이션이 다시 튀어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AP연합뉴스

AP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13일(현지시간) 미 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4월 CPI는 전년 동기 대비 2.3% 올랐다.

이는 2021년 2월 이후 4년 2개월 만에 최저치다. 지난 3월 수치와 시장 전망치(모두 2.4%)를 전부 밑돌았다. 전월 대비로는 0.2% 상승해 예상치(0.3%)를 하회했다. 3월에는 0.1% 하락을 기록했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기 대비 2.8% 올라 직전월과 전망치(각각 2.8%)에 부합했다. 전월 대비로는 0.2% 올랐는데 3월(0.1%)보다는 상승폭이 컸고 전망치(0.3%) 보다는 작았다. 근원 CPI는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가장 눈여겨보는 물가 지표다.


품목별로는 주거비 상승폭이 전체 CPI 상승분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주거비는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 에너지는 3월 2.4% 하락에서 4월 0.7% 상승으로 반전했다. 식품 가격은 0.1% 내렸고 이 가운데 계란 가격은 12.7% 하락했다. 중고차 가격은 0.5% 올랐고 신차 가격은 보합세였다. 의료 서비스는 0.5% 상승했다.

이번 CPI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지난달 5일 모든 교역국에 기본 관세 10%를 발효한 뒤, 이 같은 관세 인상 효과가 처음 반영된 지표다. 국가별 상호관세는 중국을 제외하고 90일간 유예됐다. 지난달 CPI에는 철강·알루미늄, 자동차 수입품에 부과한 25%의 품목별 관세와 대중국 관세 영향만 일부 반영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도 물가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는 일단 완화됐다.


하지만 기업들이 관세 인상 전 재고를 선제적으로 비축했고, 관세 부담을 소비자 가격에 본격으로 전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큰 의미를 두기 어렵다는 해석이 나온다. 관세 발효 전 확보해 둔 재고가 소진되고, 7월까지로 예정된 관세 협상에서 뚜렷한 성과가 없을 경우 올 여름 인플레이션이 재점화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CIBC 캐피털 마켓의 알리 자페리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4월에는 트럼프 행정부의 글로벌 관세 체계 시행 첫 달이라 관세가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이 낮았고 기업들도 충분한 재고, 높은 마진에 인내심을 가질 수 있었다"면서 "하지만 현재 관세 수준은 무역 전쟁 시작 전보다 여전히 높고 일부 전가가 있을 수 있으며 장기간에 걸쳐 확산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관세가 소비 부진을 낳고 미 경제가 빠르게 둔화할 경우 물가 상승률이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것이란 전망도 있다. 미국과 중국이 90일간 관세율을 115%포인트씩 낮추고 후속 협상을 이어가기로 한 점도 인플레이션을 크게 자극하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의 애나 웡 이코노미스트는 "관세 비용을 미국에서 대부분 부담했는데도 CPI 상승률이 완만하다면 이는 수요가 둔화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며 "만약 이런 효과가 지속되면 관세의 순 영향은 일반적인 생각보다 인플레이션을 덜 유발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