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건설장비·발전설비에 기술 적용
美스탠퍼드대 HAI와 산학 협력 체결
전문 인재 확보·기술 표준 주도권 겨냥
두산 그룹이 로봇과 건설기계, 발전기기 등 주요 산업에 인공지능(AI)을 접목한 '피지컬 AI' 분야에 본격 뛰어든다.
두산은 그룹 지주 부문에 'PAI 랩(Physical AI Lab)'을 신설하고, 피지컬 AI 기술 개발과 관련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고 13일 밝혔다. 피지컬 AI는 실제 기계나 로봇에 인간 수준의 판단 능력을 갖춘 AI를 적용해 현장에서 스스로 인식·판단·행동까지 수행하는 기술을 말한다.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중심 AI와 달리 산업 현장에 최적화된 고도화된 하드웨어 지능화가 핵심이다.

지난달 동대문 두산타워에서 열린 산학협력 협약식에서 박지원 두산그룹 부회장(왼쪽)과 제임스 랜데이 스탠포드 대학 HAI 연구소 공동연구소장(오른쪽)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두산 제공
PAI 랩은 두산로보틱스, 두산밥캣, 두산에너빌리티 등 계열사와 협력해 관련 기술을 통합 관리하고, 장기 로드맵 수립과 핵심 스타트업 투자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두산로보틱스는 반복 작업을 수행하던 기존 협동로봇에 피지컬 AI를 접목해 비정형 환경에서도 작업 가능한 고지능 로봇으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두산밥캣은 자율주행을 넘어 작업 계획과 실행까지 가능한 '자율작업' 장비 개발을 목표로 한다. 발전설비를 담당하는 두산에너빌리티도 발전소 내 주요 기기에 AI를 적용해 설비 간 자율 판단과 효율적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두산은 피지컬 AI 기술 확보를 위해 최근 미국 스탠퍼드대의 '인간중심 AI연구소(HAI)'와 산학협력도 맺었다. 두산은 HAI와 협력하는 첫 산업재 기업으로, 연구 개발과 인재 교류를 통해 글로벌 AI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우수 인재 채용에도 나설 방침이다.
두산은 이번 협력을 계기로 글로벌 AI 인재 풀과의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향후 피지컬 AI 기술의 글로벌 표준 형성과 응용 연구에서도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두산 관계자는 "글로벌 AI 전문가를 PAI 랩 리더로 영입할 계획"이라며 "그룹 차원에서 전략적 투자와 기술 내재화를 추진해 피지컬 AI 시장을 선점하겠다"고 말했다.
조성필 기자 gatozz@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