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애플, 아이폰 가격인상 검토"… 관세 영향 본격화하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WSJ "애플, 가격 인상이 관세 탓이라는 상황 피하려 해"

애플이 올해 출시하는 신형 아이폰 시리즈의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1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애플이 오는 9월 출시할 것으로 예상되는 아이폰17 시리즈에 새로운 기능 추가 및 디자인 변경을 추진하면서 가격 인상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이폰의 가격 인상은 달러 기준으로 2022년 이후 3년 만이다. 현재 아이폰 가격은 기본 모델의 경우 799달러(128GB)부터, 고급 모델인 프로맥스는 1199달러(256GB)부터 시작된다.


가격 인상 폭과 추가되는 기능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새로운 아이폰에 탑재되는 새 운영체제의 디자인은 전반적으로 변경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또 새로운 라인업에는 미국에서 899달러에 판매되는 아이폰16 플러스를 대체할 더 얇은 모델이 포함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한 소식통은 "애플이 관세로 인해 가격이 상승한 것처럼 보이는 상황을 피하려 한다"고 전했다. 지난달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은 일부 상품 가격에 관세로 추가된 금액을 표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가 백악관으로부터 "적대적이고 정치적인 행위"라며 비난을 받았고 이를 백지화한 바 있다.

WSJ는 "애플이 수익을 유지하기 위해 신형 아이폰 가격을 올리면서 관세 이외의 다른 가격 인상 이유를 찾고 있다"며 "가격 인상을 정당화하기 위해 어떤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짚었다.


"애플, 아이폰 가격인상 검토"… 관세 영향 본격화하나 원본보기 아이콘

애플은 관세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아이폰 생산을 중국에서 다른 지역으로 다변화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업계는 올해 전 세계 아이폰 출하량에서 인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대비 두 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테크 리서치 기업 테크인사이트의 분석가 아빌라시 쿠마르는 "그 정도로는 미국과 인도의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며 "2026년 말이나 2027년 초쯤 돼서야 인도 공장이 미국과 인도의 아이폰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그때도 부품 조달에는 여전히 중국이 중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에서 수입되는 아이폰은 지난달 11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제외 품목으로 지정됐지만, 이른바 펜타닐 관세 20%는 여전히 적용받고 있다. 팀 쿡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일 분기 실적 발표 당시 현재 관세로 인해 이번 분기에 9억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그 이후에는 더 큰 비용이 뒤따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