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 차세대 무기발광 기술
SID '올해의 우수 논문' 선정키도
LG디스플레이, 4세대 OLED 패널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13일(현지시간)부터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리는 '디스플레이 위크 2025(SID 2025)'에 참가한다. 각각 무기발광 기술과 4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과 같은 차세대 기술을 선보이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이날 삼성디스플레이는 13~15일 미국 새너제이 맥에너리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SID 2025 전시회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전세계 디스플레이 기업과 전문가들이 참석해 최첨단 기술과 연구개발(R&D)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다.
이번 전시에서는 기존 대비 밝기를 50% 높인 400니트 고휘도 전계발광 퀀텀닷(EL-QD)과 264PPI 고해상도 제품이 첫 공개됐다. EL-QD는 OLED 없이 전기신호로 RGB(적·녹·청) 픽셀을 직접 빛내는 차세대 무기발광 기술로, 색 정확도를 높이고 소비전력도 줄일 수 있다. 관련 논문은 SID '올해의 우수 논문'으로 선정됐다.

삼성디스플레이가 13~15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 맥에너리 컨벤션센터 'SID 2025'에서 전시하는 센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또 화면 전체에서 지문과 건강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도 실물 전시했다. 유기광다이오드(OPD)를 패널에 증착해 심박수, 혈압, 심방세동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기술로, 올해 초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도 소개된 바 있다.
RGB 올레도스 중 업계 최고 해상도를 구현한 5000PPI 제품도 이번 전시를 통해 처음으로 선보인다. 크기는 1.4형 초소형으로 손목시계 화면만큼 작지만 8K TV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췄다. 이 제품은 최대 1만5000니트 밝기와 120Hz 주사율을 구현하며, 확장현실(XR) 기기용 고성능 부품으로 주목받는다.
이밖에 2만니트 밝기의 RGB 올레도스도 처음 공개됐다. 앞서 공개됐었던 마이크로LED(발광다이오드) 기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가방 형태로 접히는 '플렉시블 브리프케이스', 마름모꼴 폴더블폰 '폴리건 폴더블' 등 미래 폼팩터 제품들도 선보였다.
이창희 디스플레이연구소장(부사장)은 "세계 유수의 석학들과 전문가들이 모인 자리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압도적인 기술력을 선보이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학계, 시장과 적극 소통하며 고객이 원하는 솔루션을 가장 먼저 선보이며 기술의 변화를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LG디스플레이는 4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비롯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에 공개된 4세대 OLED 패널은 '프라이머리 RGB 탠덤' 구조를 적용해 최대 4000니트의 밝기를 구현했다. RGB 소자를 독립적으로 쌓는 독자 기술이다.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AI) TV, 게이밍 OLED 등 프리미엄 제품군 확대에 나선다.
세계 최고 수준인 5120×2160 해상도를 구현한 '45인치 5K2K 게이밍 OLED'도 공개됐다. 45인치 대화면에 약 1100만개 픽셀이 촘촘하게 배열돼 뛰어난 화질을 구현하며 영화관 스크린 비율(21:9)을 채택해 몰입감을 높였다.
또 콘텐츠에 따라 주사율과 해상도를 선택할 수 있는 LG디스플레이의 독자 기술인 DFR(주사율 및 해상도 자동 전환 기술)도 선보였다. 게임에는 고주사율 모드를, 영화 감상 시에는 고해상도 모드를 제공해 사용자 맞춤형 경험을 구현한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존에서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와 57인치 필러투필러(P2P), 18인치 슬라이더블 OLED를 적용한 콘셉트카도 전시됐다. 특히 슬라이더블 OLED는 천장에 말아 넣는 구조로 차량 내 공간 활용도를 높였고, -40도부터 85도까지 작동 가능한 내구성도 확보했다.
LG디스플레이는 지속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술도 함께 선보였다. '네오 LED' 패널은 낮은 전력소모로 배터리 효율을 높였고, '14인치 친환경 노트북 패널'은 제품 중량의 41%를 재활용 소재로 제작해 친환경성을 강화했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최고기술책임자(CTO)는 "미래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창출하며 기술 리더십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LG디스플레이는 이번 행사에서 4세대 OLED 연구 성과를 포함한 16편의 선행 연구 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