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미디어 뉴웨이' 전략 발표
대화형 AI로 드라마, 영화 탐색
콘텐츠 제작부터 유통까지 AI 활용
KT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의 협력해 자사 인터넷TV 플랫폼인 '지니 TV'에 대화형 AI 비서를 적용한다. MS와 개발한 '한국적 AI'를 적용하는 첫 사례다. 상반기부터 단계적으로 도입되는 이 기능을 통해 현재 950만명에 이르는 지니TV 사용자는 대화형 AI와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소통하며 드라마나 영화를 찾고 시청할 수 있다.
16일 서울 안다즈 호텔에서 열린 '미디어토크' 기자간담회에서 KT는 미디어 플랫폼과 콘텐츠 사업에 AI를 접목하는 '미디어 뉴 웨이' 전략을 발표했다. 김채희 KT 미디어부문장 전무는 "가령 사용자가 AI비서에게 'ENA 채널에서 방영한 군대 배경의 유쾌한 드라마가 뭐였지?' 라고 물으면, 지니 TV 오리지널 드라마 '신병'을 찾아 바로 시청 가능한 VOD로 연결해준다"며 "콘텐츠 하이라이트만 보기, 특정 장면 건너뛰기 등 사용자 편의 기능도 추가된다"고 했다.
KT는 미디어 콘텐츠 제작 전반에도 AI를 활용하기 위해 'AI 스튜디오 랩'을 신설했다. 이 조직은 콘텐츠 투자 심사부터 기획·제작·마케팅·유통에 이르는 전 과정에 AI 기술을 접목한다. 그룹 내 콘텐츠 제작을 담당하는 KT스튜디오 지니는 'AI 제작 명가'로 포지셔닝을 변경하고 IP 확장에 집중한다. 기존 '신병 시리즈'의 세계관을 영화, 애니메이션 등으로 확장하고, 해외 진출도 모색한다.
KT는 정체된 IPTV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채널(FAST)을 상반기 중 지니 TV를 통해 시범 운영하고, 숏폼 콘텐츠 사업도 적극 추진한다. KT스튜디오지니는 '숏폼 전문 스튜디오'로 재편해 약 20편의 숏폼 콘텐츠를 국내외 주요 플랫폼과 공동제작 중이다. 김 전무는 "AI 기반으로 미디어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어가겠다"며 "AI 혁신과 새로운 IP 확장 전략에 KT 그룹의 역량을 결합해 새로운 길을 개척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매일 밤 5명이 돌아가며 보초…성착취 후유증에 자해도 심각[성착취, 아웃]](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2216101030191_1745305811.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