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경쟁력 고려하면 영향 크지 않다는 분석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 자동차 관세를 발표하면서 일본은행(BOJ)이 5월1일 기준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크게 낮아졌다고 27일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다케다 아츠시 이토추연구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5월 금리 인상 가능성은 더욱 낮아졌다"며 "BOJ는 관세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하게 조사해야 한다. 5월 회의까지 이를 끝마칠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BOJ는 올해 1월 정책 금리를 0.25%에서 0.5%로 인상했다. 최근 임금 상승과 식품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며 5월 금리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 경제의 핵심 산업인 자동차 부문에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산업 전반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6조엔(약 58조5426억원)으로 전체 수출의 30%를 차지한다.
블룸버그는 엔화가 높은 관세에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향후 금리가 달렸다고 분석했다. 최근 1달러당 엔화 환율은 150엔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10년 평균 환율인 달러당 121엔보다 저렴해 수입 주도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다케다 이코노미스트는 25% 관세가 실제 시행될지는 아직 알 수 없으며 일본 완성차 업체들이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수 있다고 본다. 그는 "이는 경제의 하방 위험을 심화시킨다"면서도 "그러나 아마도 경제가 점진적 회복의 길에서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들은 자동차 관세로 인해 일본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1%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 모든 국가에 추가 관세가 적용되므로 일본 업체들이 상대적 경쟁력을 잃지 않을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일본 자동차제조업협회는 자동차 관련 기업과 공급 업체에서 일하는 직원이 일본 전역에서 558만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일본 전체 근로자의 8.3%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날 참의원(상원) 예산위원회에서 "25% 관세를 일본에 적용하지 않도록 강력히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