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유인촌 장관, 대중문화 명예의전당 설립 의지 "국가 위상 높여"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국가의 위상을 높이고 우리 문화를 전 세계에 파급하는데 가장 앞서 있는 분야다. 지금부터 잘 기록하고 남겨야 한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대중문화예술 명예의 전당' 설립 의지를 피력하며 이같이 말했다. 문체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함께 마련한 '대중문화예술 명예의 전당 추진 방안 세미나'였다. 문체부는 향후 6개월 동안 매달 한 차례씩 세미나를 열어 대중문화예술 명예의 전당 설립 방안을 체계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유인촌 장관은 17년 전 처음 명예의 전당 얘기를 꺼냈는데 그동안 진척이 되지 않았다며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하지만 17년 사이 한국 대중문화예술의 위상은 크게 달라졌다. 오랜 시간 소위 '딴따라'로 치부되던 대중문화예술은 이제 전 세계적으로 K-컬처 붐을 일으키며 한국을 세계적인 문화 강국으로 우뚝 서게 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대중문화예술 명예의 전당 추진 방안 세미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 문화체육관광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대중문화예술 명예의 전당 추진 방안 세미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 문화체육관광부]

AD
원본보기 아이콘

'왜 지금 ‘대중문화예술 명예의 전당’ 인가'라는 주제로 발제를 맡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채지영 선임연구위원은 "20년 전 처음 한류 연구를 시작할 때 제일 많이 들었던 말이 '한류 곧 끝날 거 아니냐'였지만 지금은 그런 말을 하는 사람이 없다"며 "대중문화예술이 20여 년 동안 한류라는 이름으로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굉장히 많은 가치를 창출했다"고 강조했다.


유인촌 장관도 "17년 전과 비교하면 우리 대중문화가 가지고 있는 가치나 그 위상 자체가 엄청나게 달라졌다"며 "대중문화예술 분야에서 평생을 지내오신 분들의 노고를 우리가 잘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에는 '명예의 전당 민간 추진위원회'가 꾸려졌다. 연기자 14명, 가수 4명, 희극인 3명, 성우 3명, 뮤지컬 관계자 3명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대중예술인 27명으로 꾸려진 민간 추진위원회에는 배우 신영균·유동근·정보석·최수종·신현준·정준호·이영애·이병헌·이정재, 가수 남진·권인하·비(정지훈)·김태우, 성우 장광, 희극인 이경규·신동엽, 뮤지컬 감독 박명성·설도윤 씨 등이 이름을 올렸다.

2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대중문화예술 명예의 전당 추진 방안 세미나'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제공= 문화체육관광부]

26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대중문화예술 명예의 전당 추진 방안 세미나'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제공= 문화체육관광부]

원본보기 아이콘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유동근 씨는 지난해 7월부터 명예의 전당 건립이 숙원 사업이라며 건의를 했다고 밝혔다. 유인촌 장관도 지난해 7월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열린 '2024 한국관광 명예홍보대사 위촉식' 대중문화의 역사를 기록할 수 있는 박물관과 명예의 전당을 건립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유동근 씨는 "우리 대중문화 예술의 역사가 100년이 됐다"며 "이제는 세계인 모두가 우리 것을 좋아하고 세계 젊은이들이 우리나라 말을 배우려고 하고 우리의 문화를 소비하고 같이 감동해 주는 이런 문화 산업적 가치가 나왔으니까 이제는 그 발자취를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유동근 씨는 "우리 대중문화예술인들은 크고 화려한 공간을 원치 않는다"며 "우리의 공간 자체가 역사적인 가치가 있기 때문에 무형의 유산을 보여줄 수 있는 그런 공간 정도면 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