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인도 정부, '관세 회피 혐의' 삼성전자에 과징금 9000억 부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삼성전자 "무관세 품목 해당, 법적 대응 검토"

삼성전자 가 관세 회피 혐의로 인도 정부로부터 약 9000억원에 이르는 세금 추징과 과징금 부과 명령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25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인도 세무 당국은 삼성전자가 주요 통신 장비를 수입하면서 10% 또는 20%의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수입품을 잘못 분류했다고 밝혔다.

"인도 정부, '관세 회피 혐의' 삼성전자에 과징금 9000억 부과"
AD
원본보기 아이콘


해당 품목은 '리모트 라디오 헤드'라는 소형 라디오 주파수 회로 모듈로 4G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신호를 송출하는 핵심 부품이다.

삼성전자가 2018~2021년 한국과 베트남에서 해당 부품을 7억8400만달러(약 1조1513억원)어치 수입하면서 관세를 내지 않았다는 게 인도 당국의 판단이다.


삼성전자는 "이 부품은 송수신기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무관세 품목"이라며 전문가 4명의 감정 결과를 제출했다.


하지만 인도 정부는 2020년 삼성전자가 정부에 제출한 서한에서 이 부품을 '송수신기'라고 정의했다며 '관세 대상 품목'이라고 주장했다.

인도 당국은 삼성전자에 총 446억루피(약 7636억원)의 미납 관세 추징과 과징금 부과 조치를 내렸다. 이번 사건과 관련 삼성전자 인도법인 임원들에게는 총 8100만달러(약 1189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에 삼성전자 측은 "이번 사안은 세관의 품목 분류 해석 문제"라며 "인도법을 준수하며 법적 대응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