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탄탄하고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이 기업에 필요한 가장 강력한 경제정책이라는 각오로 대외여건 변화와 공급망 교란에 맞서겠다”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청사에서 ‘제4차 공급망안정화위원회’를 주재하고 “미국 신정부가 동맹에도 예외 없는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이 핵심광물 수출통제 강화로 맞대응하면서 글로벌 공급망 불안이 심화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차량용 요소 수급 안정화 방안, 핵심광물 재자원화 활성화 방향, 공급망 안정화 기금 운용 방안 등이 논의됐다.
차량용 요수 수급 안정화 방안에 대해서 최 부총리는 “비축 확대와 수입 다변화의 정책조합을 통해 어떤 대외교란 요인에도 안정적인 수급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며 “현행 50일 수준의 공공비축(타소비축)을 70일 수준으로 확대하고, 해외 수입처를 기존의 베트남·중국·일본에서 중동·유럽까지 다변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 부총리는 “핵심광물을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로서는 사용후 제품에서 핵심광물을 추출하는 재자원화의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오는 2030년 핵심광물 재자원화율 20% 달성을 목표로 재자원화 관련 산업기반을 탄탄하게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