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실조·혹한기 노출로 결핵 증가"
지속적인 식량난에 시달리는 북한에서 인구 절반 가까이 영양실조에 걸린 것으로 추정된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1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엘리자베스 살몬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북한 내 영양실조 유병률이 2020년부터 3년간 평균 45.5%를 기록했으며, 같은 기간 1180만명이 영양실조에 걸린 것으로 추정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최근 유엔인권이사회에 제출했다.
보고서는 "북한이 식량 증산을 위해 힘을 쏟는데도 만성적 식량 불안에 시달리는 것은 노후한 생산 인프라와 열악한 기술, 투자 부족, 자연재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북한이 장마당과 같은 민간의 상업 활동을 제한하고 쌀과 옥수수 등 필수품 유통을 국가가 다시 독점적으로 통제하기로 전환하면서 식량난이 가중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보건·위생 여건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보고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결핵 발생률이 높아 보건 체계에 큰 부담을 주는 국가를 의미하는 '내성 결핵 고부담국' 30국 가운데 하나로 북한을 지목했다"며 "영양실조와 혹한기 노출로 결핵이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다"고 했다.
예방접종률도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전에는 북한 내 국가 예방접종률이 96%를 넘었지만, 2021년 중반엔 42% 이하로 떨어졌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2022년에 들어선 결핵을 비롯해 주요 질병에 대한 예방접종을 받은 어린이가 한 명도 없었다"며 "지난해 8월 유엔아동기금(UNICEF) 지원을 받은 뒤에야 어린이와 임산부 12만명 정도에 대한 예방접종이 실시됐다"고 짚었다.
배설물 처리 역시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는 "배설물을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처리하는 북한 내 가정이 전체 52%에 이르며, 이는 설사를 유발하는 등 공중보건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밝혔다. '비위생 시설'은 재래식 화장실을 쓰거나, 개선된 시설이더라도 제 기능을 못 해 배설물 처리가 안전하지 않은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박현주 기자 phj0325@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