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점검회의' 개최
지역별 세분화해 모니터링
가계부채 주무부처인 금융위원회는 최근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해제 이후 강남을 중심으로 집값 이 상승하는 가운데, 당분간은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 추이 등을 지역별로 세분화해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17일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와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3월 가계대출은 2월의 신학기 수요가 마무리되면서 현재까지는 안정적인 흐름을 보인다"고 밝혔다.
앞서 금융위는 2월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4조3000억원 증가했다고 밝힌 바 있다. 1월 명절 상여금 등의 효과로 감소(-9000억원)했던 가계대출이 지난달 증가세로 전환된 것이다. 금융권이 연초 영업을 재개하고, 대출금리 하락 및 신학기 이사수요 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회의에서 당분간은 주택담보대출 신청 및 신규 취급 추이 등을 세분화해 면밀히 모니터링 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연초 신규 취급된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2월 마지막 주를 정점으로, 3월 들어 축소되었기 때문이다. 그 증감 양상도 지역 간 동일하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2월 가계대출 증가는 신학기 이사수요가 주된 요인이라고 판단했다.
특히 서울의 경우 토허제 등 규제 완화지역을 중심으로 주택가격 상승 우려가 고조됨에 따라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서울 및 수도권 주택시장 전반으로 확산하여 가계대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회의에 참석한 은행들도 최근 수도권 부동산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주담대 신청 추이 및 취급현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최근 가격이 단기 급등한 서울시 일부 지역의 주택 관련 대출을 취급할 경우 향후 리스크 수준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점검하고 있다. 가급적 실수요자 중심으로 자금을 공급하면서 관련 리스크가 확대되지 않도록 즉시 조치할 계획이라고 했다.
권대영 사무처장은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시장 움직임 등을 고려할 때 3월 이후 가계대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올해 안정적인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서는 금융권 스스로가 3월 시장 상황에 대한 판단을 바탕으로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권 사무처장은 "금리인하 추세 가운데 일부 지역에 대한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실수요자 전반에 대한 자금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각의 상황별로 '운용의 묘'를 살린 금융회사 스스로의 자율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고 또 필요한 상황"이라며 "일선 창구와 현장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을 보다 적극적이고 세심하게 관리해달라"고 당부했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99% 사라지는 순간 올 것"…젠슨황 선택 K로봇 '뉴빌리티' 대표의 단언[인터뷰]](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41809362625006_174493658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