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부실 경영 책임을 일부 지기 위한 사재 출연을 공언하면서 그 규모에 업계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개시로 홈플러스의 2조원대 금융채무가 동결되긴 했지만 정상 영업이 이뤄지려면 최소 1조원 넘는 자금이 필요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16일 MBK는 입장문을 통해 "홈플러스 회생과 관련된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며 "그 일환으로 김 회장이 어려움이 예상되는 소상공인 거래처에 신속히 결제 대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구체적인 사재 출연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홈플러스는 지난 4일 회생개시 후 납품 대금 등 상거래 채권은 정상 지급하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2월 발생한 밀린 상거래 채권에 대해선 영세·소상공인에게 먼저 지급 중이다. 영세·소상공인에게 밀린 대금이 얼마인지는 정확한 계산이 필요하다고 홈플러스는 전했다.
업계는 홈플러스의 영업이 중단되지 않으려면 1조원 이상의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본다. 홈플러스가 매달 정산해야 하는 상거래 채권 규모는 5000억원 수준이다.
홈플러스 경영진은 지난 14일 기자간담회에서 "매일 현금이 들어오고 있다"고 했지만 자금 경색 현상은 언제든지 빚어질 수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발생한 상거래 채권과 회생개시 전 20일 이내 발생한 '공익 채권', 회생개시 이후 발생하는 상거래 채권에 대한 자금을 동시다발적으로 집행하는 상황이다.
서울회생법원이 자금을 집행하라고 승인한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 물품·용역대금(3457억원)과 올해 1~2월 임대점주 정산대금(1127억원)만 4584억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홈플러스 마트노조는 "경영 악화 원인은 MBK의 투자 부족과 전략 부재 때문"이라며 MBK가 홈플러스를 차입매수(LBO) 방식으로 인수해 부채와 이자를 갚아가면서 부동산 중심으로 경영하면서 경쟁력이 약화한 것을 이번 사태의 원인으로 꼽았다.
MBK는 이날 입장 발표에서는 "매입채무유동화 관련 채권자들을 포함한 모든 채권자분과 홈플러스 간 협의가 원만히 이뤄질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