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서삼석 “폐기 물김 활용해 고부가가치 창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폐기량 5,690톤…조미김 가공땐 350억 수익
“김 비축해 비생산 시기 사용 방안 모색해야”

서삼석 국회의원.

서삼석 국회의원.

AD
원본보기 아이콘

최근 해수온이 물김 양식에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생산량이 대폭 늘어 바다에 폐기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버려진 양만큼 가공했을 경우 100억원 이상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와 눈길을 끈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2월 7일까지 물김 폐기량은 5,690t에 이른다. 해양수산부에 제출된 자료를 기준으로 추산된 지역별 생산량은 ▲진도 2,283t ▲고흥 1,462t ▲해남 799t ▲군산 208t ▲기타 938t 등이다.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의원(전남 영암·무안·신안)이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에 의뢰해 올해 들어 지난 7일까지 마른김 도매가격을 환산한 결과, 폐기 물김 가격은 37억원에 달하며, 이를 마른김으로 가공했을 경우 5배가량인 183억8,818만원의 이익을 낼 수 있었던 것으로 추계됐다. 마른김 1속은 물김 4kg으로 최근 폐기량 5,690t을 마른김으로 환산하면 158만속 이상 생산할 수 있었다는 계산이다.


특히 지난 2016년 전남도가 추진한 ‘국립 김 산업연구소 설립·운영 방안 연구’에 따르면 마른김과 조미김의 부가가치 차이는 1.9배로 폐기 물김을 조미김으로 전환했을 경우엔 356억원 이상의 수익을 낼 수 있었다는 산술적 계산도 나온다.


서 의원은 “물김 폐기량을 비축해 마른김으로 환산할 경우 5배가량 이익을 낼 수 있었을 것이며, 이를 조미김으로 활용했을 경우엔 더 많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었다”며 “기후 위기로 해수온이 급변하기 때문에 김 비축을 적극 검토해 비생산 시기인 4~9월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