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대동맥류 파열, 이대대동맥혈관병원서 긴급 수술
“생사의 촌각을 다투던 순간, 송석원 교수님과 이대대동맥혈관병원을 만난 것은 기적이었습니다.”
복부대동맥류 파열로 35분간 심정지 상태였던 환자가 기적적으로 살아났다. 치매를 앓던 권씨의 사연이다.
연합뉴스는 18일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을 인용해 2개월여간 치료를 받고 퇴원한 권모씨(84)의 사연을 보도했다. 권씨는 지난해 12월 9일 오전 10시께 경기도 파주시 자택에서 샤워 중 갑자기 의식을 잃었다.
평소 치매를 앓고 있어 권씨의 상태를 주시하던 아들은 그를 발견하고 즉시 119에 신고했다. 구급차를 타고 평소 진료받던 경기도 고양시 소재 종합병원 응급실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권 씨는 응급조치를 통해 의식이 돌아왔지만 혈압은 여전히 낮아 위험한 상태였다. 검사 결과, 복부대동맥류의 파열로 진단돼 긴급 수술이 가능한 이대대동맥혈관병원에 전원 의사를 타진했고 즉시 수술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다.
복부대동맥류는 뱃속 가장 굵은 혈관인 복부대동맥이 여러 가지 이유로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질환이다. 압력을 견디지 못하면 결국 터지는데 환자 50% 정도가 병원 도착 전 사망할 정도로 치명적이다.
권씨와 보호자는 같은 날 오후 5시 30분께 이대서울병원 내 이대대동맥혈관병원에 도착했으나 권씨의 심장이 멈춘 상태였다. 이후 송석원 교수팀은 도착 즉시 35분간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지만, 심장은 뛰지 않아 수술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아들이 오열하며 "아버지가 오랫동안 치매를 앓았다. 아버지랑 마지막으로 제대로 된 대화를 해본 지가 너무 오래다. 꼭 소생시켜 달라"고 말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환자의 심장이 뛰기 시작했고, 송 교수팀은 때를 놓치지 않고 즉시 수술에 들어갔다.
이 사연은 아들 권씨가 퇴원하며 '송석원 교수님과 이대대동맥혈관병원 의료진들에게 드리는 글'이라는 제목의 편지를 남기며 알려졌다.
보호자 아들 권씨는 “아버지가 심정지 상태에서 이대대동맥혈관병원에 도착 당시 첫 대면부터 수술 끝까지 위로와 치료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셨던 분이 송석원 교수라는 것을 나중에 알고 너무나도 감동했다”라고 말했다.
실제 복부대동맥류는 치명적이지만, 권씨의 경우 보호자의 빠른 조치와 복부대동맥류의 파열 진단 이후, 즉각 수술이 가능한 의료기관을 찾았기에 소생이 가능했다.
권씨의 아들은 “아버지가 일반병실로 돌아오시고 난 이후, 송석원 교수가 첫 회진 때 ‘아버님은 정말 기적이었습니다’라고 말씀 주셨는데 저야말로 송석원 교수님을 만난 것이 기적이었으며, 이대대동맥혈관병원을 찾은 것도 기적이었다”고 강조했다.
한편, 복부대동맥류는 파열 전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다. 드물게 배에서 펄떡펄떡 뛰는 덩어리인 ‘박동성 종괴’가 만져지거나, 배나 허리에 통증과 불편감이 느껴질 수 있다. 복부 대동맥류가 주변 장기를 압박하면 조금만 먹어도 배가 부르거나 구역질,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땐 즉시 병원을 찾는 게 좋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7300만원은 줘야 다니지"…Z세대, '연봉' 없는 채용공고 기피[세계는Z금]](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31109462462575_1741653984.p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