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구매 대신 구독하는 시대…청년은 AI, 중년은 생활가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소비자 94.8% "구독서비스 이용 경험 有"
세대·라이프스타일 따라 다른 선호 서비스

소비시장 전반에 '구독경제'가 확산한 결과, 20~30대 소비자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구독에 관심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40~60세대의 초점은 '건강·생활가전' 제품이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글로벌 시장조사기업 마크로밀 엠브레인을 통해 성인 남녀 1000명을 조사한 '최근 소비자 구독서비스 이용실태' 분석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소비자 94.8%가 구독서비스를 이미 이용해본 경험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롭게 이용해보고 싶은 구독서비스'를 묻는 질문에서 20~30대는 생성형 AI 서비스를 가장 많이 꼽았다. 40~60대는 안마의자, 피부 미용기기 등 건강·생활가전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학습이나 자기 개발에 관심이 높은 청년층과 건강을 중시하는 중년층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구독경제의 한 축을 이루는 주요 OTT 서비스들. 연합뉴스

구독경제의 한 축을 이루는 주요 OTT 서비스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구독경제는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원하는 기간만큼 상품·서비스 등을 제공받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소비자는 초기 부담 없이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기업은 안정적 수익원 확보와 효율적 고객 관리라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대한상의는 구독서비스가 다양해지면서 구독 범위도 함께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과거에는 영상·음원 등 콘텐츠 중심의 수요였다면 건강·생활가전, 가구 등 실생활에서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상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소비자가 가장 많이 이용해본 구독서비스는 동영상 스트리밍(60.8%)으로 나타났다. 쇼핑 멤버십(52.4%), 인터넷·TV 결합상품(45.8%), 음원 및 도서(35.5%), 정수기(33.8%) 등이 뒤를 이었다. 동영상 스트리밍은 월정액으로 수천편의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쉽게 시청할 수 있다는 접근성, 쇼핑 멤버십은 할인을 비롯한 경제적 이점이 각각 이용률을 높인 요인으로 보인다.


대한상의는 구독경제 확대 배경을 두고 "소유보다 경험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와 함께 초기에 큰 비용을 지출하지 않아도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필요한 만큼 소비할 수 있는 경제적 효율성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소비자가 꼽은 구독서비스의 장점은 최신 제품·서비스 이용(69.9%),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64.9%), 저렴한 초기 비용(58.8%)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은철 대한상의 디지털혁신팀장은 "구독경제는 경기 불황 속에서도 합리적 비용으로 맞춤형 서비스와 최신 상품을 경험할 수 있어 소비 트렌드에 부합한다"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수요가 확대되는 추세인 만큼 기업들은 소비자 니즈에 최적화된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