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우마 회복·치유 위해 함께 노력해야"
대전 초등학교 피살 사건과 관련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우울증 치료 병력은 우울증의 폭력성을 의미하지 않는다"며 우울증에 대한 편견을 조장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14일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대한간호협회 정신간호사회, 한국심리학회, 한국정신간호학회,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 학회는 공동 성명을 통해 "이번 사건이 자칫 우울증에 대한 편견을 조장해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 없는 치료를 막아서는 일이 돼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이번 참사와 관련해 특히 중요한 것은 희생자와 유가족, 목격자, 피해 아동이 속한 학교 공동체, 그리고 많은 국민의 마음의 충격과 고통을 위로하고 트라우마를 치유하고 회복하는 일"이라며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낙인찍기보다는 트라우마의 회복과 치유를 위한 노력에 함께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처참한 사건에 직면한 유가족과 국민은 슬픔과 분노, 무력감, 죄책감, 수면 문제와 신체 증상 등 다양한 애도 반응과 트라우마 반응을 경험할 수 있다"며 "가족, 친척, 친구와 슬픔과 고통을 나눠볼 것을 권유한다. 고통이 심하고 일상생활이 힘들다면 즉시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요청하길 바란다"고 조언했다.
대한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의사회)도 이번 사건으로 정신질환 치료 의지가 위축될 수 있는 만큼 진료 이력을 문제 삼아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의사회는 전날 입장문을 내고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여부로 개인의 정신 건강 문제를 평가할 수 없다"며 "치료를 받은 이력 자체가 심각성을 반영하지 않는다. 단지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를 통한 건강 회복의 과정을 선택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살인은 범죄자 개인의 인격과 도덕성이 영향을 미칠 텐데, 잔인한 행위를 정신질환 탓으로 돌린다면 오히려 정신건강 문제로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꿋꿋이 살아가는 환자들에 대한 모독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로켓 해지하고 넘어왔어요"…쿠팡 위협하는 다이소몰 '오늘배송'[천원템의 진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121316034587591_170245102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