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AK라디오]조태용 vs 홍장원, 조태용 "홍장원 메모 사실과 달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홍 전 차장 당시 공관 아닌 사무실에"
"비상계엄 찬성 국무위원 없었다"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13일 헌법재판소 8차 변론에 출석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사건의 핵심 쟁점인 '홍장원 메모'와 관련해 "메모가 총 4종이 존재하며, 홍장원 전 차장의 진술은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했다. 홍 전 차장이 지난 4일 5차 변론에서 진술한 메모 작성 경위를 정면으로 반박했다.


홍 전 차장은 당시 "12월 3일 오후 11시 6분경 국정원장 공관 앞 어두운 공터에서 여인형 방첩사령관이 불러주는 정치인 체포 명단을 받아 적었다"고 증언했다. 이 증언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의 핵심 증거로 주목받아왔다. 그러나 조 원장은 "당시 CCTV를 확인한 결과, 해당 시간에 홍 전 차장은 국정원 청사 사무실에 있었다"며 진술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나아가 조 원장은 기존에 알려진 2종의 메모 외에 2종이 더 존재한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영상을 클릭하세요.





현재까지 알려진 메모는 홍 전 차장이 직접 작성한 것과 이를 보좌관이 정서한 것 등 2종이었다. 홍 전 차장은 당시 급하게 받아 적어 알아보기 힘들었기 때문에 사무실에서 보좌관에게 정서를 지시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조 원장은 여기에 12월 4일 오후 홍 전 차장이 보좌관에게 다시 기억나는 대로 작성하도록 한 메모와, 방첩사 표시와 색깔 동그라미가 추가된 또 다른 버전의 메모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이날 조 원장은 홍 전 차장의 정치적 중립성 문제도 함께 제기했다. 지난해 여름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있었던 일화를 언급하며, 한 야당 의원이 홍 전 차장을 지목해 "국정원 재직 시절 유력 인사를 통해 7차례의 인사 청탁을 했다"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이는 홍 전 차장의 정치적 중립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근거로 제시됐다. 해당 의원으로 알려진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홍 차장이 직접 제게 청탁한 게 아니고 주영대사를 역임한 전 국정원 간부가 6~7차례 청탁, 거절한 것이 전부"라고 밝혔다.

13일 조태용 국정원장이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참석해 진술하고 있다.

13일 조태용 국정원장이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참석해 진술하고 있다.

AD
원본보기 아이콘

한편 조 원장은 탄핵 심판의 주요 쟁점과 관련해 두 가지 중요한 진술을 했다. 첫째, 12월 3~4일 당시 홍 전 차장으로부터 "이재명, 한동훈 등을 체포할 수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인정했다. 다만 당시 이를 "뜬구름 같은 얘기"로 받아들였으며, "알아듣게 보고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정치인 체포 관련 발언의 존재는 인정하면서도, 그 구체성이나 실행 가능성에 대해서는 선을 그은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이 부분은 탄핵 사유의 핵심 쟁점 중 하나인 정치인 체포 계획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12월 3일 비상계엄 관련 국무회의에 대해 "찬성한 국무위원은 없었다"고 증언했다. 이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찬성한 국무위원이 몇 명 있었다"고 진술한 것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내용이다. 이로 인해 당시 국무회의의 성격과 진행 과정에 대한 논란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무회의에서의 논의 내용과 분위기는 탄핵 사유의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어, 이에 대한 상반된 증언은 향후 헌재의 판단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2월 4일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탄핵심판에 출석해 진술하고 있다.

2월 4일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탄핵심판에 출석해 진술하고 있다.

원본보기 아이콘

조 원장의 증언은 크게 홍 전 차장 진술의 신빙성을 문제 삼은 부분과 탄핵 사유와 직접 관련된 진술로 나눌 수 있다. 특히 정치인 체포 관련 발언이 있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당시 상황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으며, 국무회의 진행 상황에 대해서는 기존 증언들과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이날 증언을 통해 홍장원 메모를 둘러싼 논란은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됐다. 메모의 존재 자체는 인정되나 그 작성 경위와 내용의 진실성을 둘러싸고 증언이 엇갈리면서, 향후 헌재의 판단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특히 홍 전 차장의 정치적 중립성 문제가 새롭게 제기되면서, 증언의 신뢰도를 둘러싼 논쟁도 더욱 가열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종섭 정치스페셜리스트 kumkang21@asiae.co.kr
이미리 PD eemilllll@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