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이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국회의원 등 정치인 체포나 국회 봉쇄 지시를 받은 적이 없다"고 진술했다. 다만 계엄 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2200 국회', '여론조사 꽃', '민주당사' 등 시간대별 장소가 적힌 문건을 전달받았다고도 밝혔다.
13일 오후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증인으로 참석한 김 전 청장은 '12월 3일 저녁 삼청동에서 윤 대통령을 만났을 때 국회 출입을 전면 차단 내지 봉쇄하라, 국회의원 출입을 막으라고 지시를 받은 적이 있냐'는 질문에 "없다"고 답했다.
김 전 청장은 12·3 비상계엄이 선포되기 전인 19시30분께 삼청동 대통령 안가에서 윤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조지호 경찰청장과 만났다. 당시 윤 대통령은 이들을 만나 비상계엄 선포를 예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청장은 회동에 대한 질문에 "경찰에서 질서 유지를 잘해달라는 이야기를 들었고, 10분도 채 안 되는 짧은 시간이었다"고 밝혔다.
김 전 청장은 "삼청동에서 김용현 장관이 A4 용지 한 장을 나눠줬고, 같은 테이블에 윤 대통령이 있었다"며 "'2200 국회'와 함께 시간과 장소 몇 군데가 적혀있던 걸로 기억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주당사나 여론조사 꽃이 적혀있던 것은 언론보도를 보고 난 후 추가로 기억이 났다"고도 덧붙였다.
다만 해당 문건에 대해 이어진 질의에서는 구체적인 기억이 나지 않는다며 대답을 아꼈다. 김 전 청장은 국회 측이 문건 형식이나 내용에 관해 묻는 질문에 "제목이 있거나 공문서가 아니니 주의 깊게 안 봐서 잘 모르겠다"며 "시간대별 장소가 적힌 것도 경찰이 아닌 계엄군이 출동해야 할 장소로 인식했다"고 답했다. 또 계엄 시작 전에 곧바로 해당 문건을 파쇄한 것에 대해서도 "위험하다는 인식 때문이 아니라, 평소에도 문서 보면 파쇄해왔기에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언론사 단전·단수와 관련해서도 지시를 받지 못했다고도 했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은 지난 11일 헌재에 증인으로 참석해 ""대통령 집무실에서 단전·단수 적혀진 쪽지 몇 개를 봤다"고 진술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김 전 청장은 '단전·단수라는 용어나 소방청장에 협조하라는 말이 없었나', '행정안전부 장관이 대통령실에서 쪽지를 봤다고 증언했는데 알고 있냐'는 국회 측 질문에 각각 "기억이 나지 않는다", "뉴스를 보고 알았다"고 대답했다.
염다연 기자 allsalt@asiae.co.kr
곽민재 기자 mjkwak@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