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치명적 뇌출혈 발생… 신속 수술-재활로 놀라운 회복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뇌 지주막하 출혈'은 치사율이 무려 50%에 이를 정도로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뇌출혈은 증상이 발생한 후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이뤄져야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신체적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센텀종합병원 신경외과 이동혁 과장은 "뇌 지주막하 출혈은 혈관이 약해지면서 꽈리처럼 부풀어진 동맥류가 파열되며 뇌출혈을 일으킨다. 혈관이 약해진 부분을 금속실로 막아주는 치료가 코일색전술이다. 이는 재출혈을 방지해 뇌 손상을 막아준다"고 설명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의식 잃은 60대, 뇌동맥류 파열로 ‘뇌 지주막하 출혈’

센텀종합병원, 코일색전술 시행, 3주 만에 보행 퇴원

두개골 절개 없이, 빠른 회복 돕는 최소 침습적 방법

‘뇌 지주막하 출혈’은 치사율이 무려 50%에 이를 정도로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뇌출혈은 증상이 발생한 후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이뤄져야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신체적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와 관련해 최근 뇌출혈 발생 환자에 대한 수술 치료 사례가 있었다.


센텀종합병원에 따르면 여성 A(68세)씨는 의식 저하로 응급실에 이송돼 왔다. 이에 의료진이 뇌 CT 검사를 시행한 결과, 뇌 지주막하 출혈로 확인됐다. 추가 실시한 CT 혈관조영술에서는 우측 경동맥의 뇌동맥류 파열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뇌 지주막하 출혈은 혈관벽이 약해져 풍선처럼 부풀어 있다가 터지는 현상으로, 급성 뇌출혈을 유발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A씨는 파열된 동맥류에서 재출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였는데, 재 출혈한다면 뇌에 손상을 주어 사망 가능성이 커진다.

센텀종합병원의 혈관조영실팀 의료진.

센텀종합병원의 혈관조영실팀 의료진.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에 센텀종합병원 이동혁(신경외과 전문의) 과장은 곧바로 A씨에 대해 응급 ‘코일 색전술’을 시행했다.

코일색전술은 개두술(머리를 직접 절개하는 수술) 없이 혈관 내 접근을 통해 뇌동맥류를 치료하는 비침습적 수술법이다. 다리 대퇴부나 팔의 혈관을 통해 미세한 도관(카테터)을 삽입한 후, 이를 뇌혈관에 위치시키고 동맥류 내부에 특수 금속 코일을 채우는 것이다.


이 수술법은 혈류 흐름을 차단해 추가 출혈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미세 침습 수술이라 회복 속도가 빠르고,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색전술을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환자의 파열된 대뇌동맥류 코일색전술.

환자의 파열된 대뇌동맥류 코일색전술.

원본보기 아이콘

수술 전 의식이 혼미 수준이었던 A씨는 수술 후 기면 상태로 호전됐다. 이어 중환자실에서 1주일간 집중 치료를 받고 일반 병실로 옮겨진 후 재활 치료를 병행했다. 그리고 입원 3주일 만에 걸어서 퇴원했다. 뇌 지주막하 출혈의 경우 후유증 없이 출혈 이전으로 복귀하는 경우가 5∼10%에 불과하다.


센텀종합병원 신경외과 이동혁 과장은 “뇌 지주막하 출혈은 혈관이 약해지면서 꽈리처럼 부풀어진 동맥류가 파열되며 뇌출혈을 일으킨다. 혈관이 약해진 부분을 금속실로 막아주는 치료가 코일색전술이다. 이는 재출혈을 방지해 뇌 손상을 막아준다”고 설명했다.


위와 같은 사례에서 보듯이 뇌 지주막하 출혈은 초기 치료가 환자의 생사와 신체적 후유증 등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이동혁 과장은 “그렇기 때문에 극심한 두통이나 의식 저하·혼미, 구토·어지러움, 시야 장애, 편측 마비와 감각 이상 등의 증상들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철우 기자 sooro9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