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 잃은 60대, 뇌동맥류 파열로 ‘뇌 지주막하 출혈’
센텀종합병원, 코일색전술 시행, 3주 만에 보행 퇴원
두개골 절개 없이, 빠른 회복 돕는 최소 침습적 방법
‘뇌 지주막하 출혈’은 치사율이 무려 50%에 이를 정도로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뇌출혈은 증상이 발생한 후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이뤄져야 환자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신체적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와 관련해 최근 뇌출혈 발생 환자에 대한 수술 치료 사례가 있었다.
센텀종합병원에 따르면 여성 A(68세)씨는 의식 저하로 응급실에 이송돼 왔다. 이에 의료진이 뇌 CT 검사를 시행한 결과, 뇌 지주막하 출혈로 확인됐다. 추가 실시한 CT 혈관조영술에서는 우측 경동맥의 뇌동맥류 파열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뇌 지주막하 출혈은 혈관벽이 약해져 풍선처럼 부풀어 있다가 터지는 현상으로, 급성 뇌출혈을 유발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A씨는 파열된 동맥류에서 재출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였는데, 재 출혈한다면 뇌에 손상을 주어 사망 가능성이 커진다.
이에 센텀종합병원 이동혁(신경외과 전문의) 과장은 곧바로 A씨에 대해 응급 ‘코일 색전술’을 시행했다.
코일색전술은 개두술(머리를 직접 절개하는 수술) 없이 혈관 내 접근을 통해 뇌동맥류를 치료하는 비침습적 수술법이다. 다리 대퇴부나 팔의 혈관을 통해 미세한 도관(카테터)을 삽입한 후, 이를 뇌혈관에 위치시키고 동맥류 내부에 특수 금속 코일을 채우는 것이다.
이 수술법은 혈류 흐름을 차단해 추가 출혈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미세 침습 수술이라 회복 속도가 빠르고,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색전술을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술 전 의식이 혼미 수준이었던 A씨는 수술 후 기면 상태로 호전됐다. 이어 중환자실에서 1주일간 집중 치료를 받고 일반 병실로 옮겨진 후 재활 치료를 병행했다. 그리고 입원 3주일 만에 걸어서 퇴원했다. 뇌 지주막하 출혈의 경우 후유증 없이 출혈 이전으로 복귀하는 경우가 5∼10%에 불과하다.
센텀종합병원 신경외과 이동혁 과장은 “뇌 지주막하 출혈은 혈관이 약해지면서 꽈리처럼 부풀어진 동맥류가 파열되며 뇌출혈을 일으킨다. 혈관이 약해진 부분을 금속실로 막아주는 치료가 코일색전술이다. 이는 재출혈을 방지해 뇌 손상을 막아준다”고 설명했다.
위와 같은 사례에서 보듯이 뇌 지주막하 출혈은 초기 치료가 환자의 생사와 신체적 후유증 등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이동혁 과장은 “그렇기 때문에 극심한 두통이나 의식 저하·혼미, 구토·어지러움, 시야 장애, 편측 마비와 감각 이상 등의 증상들이 갑작스럽게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철우 기자 sooro9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로켓 해지하고 넘어왔어요"…쿠팡 위협하는 다이소몰 '오늘배송'[천원템의 진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121316034587591_170245102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