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대학교 124곳이 학부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했다.
11일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사총협)에 따르면 전국 대학 190개(사립 151개·국공립 39개) 중 65.3%에 해당하는 124개가 올해 등록금을 인상했다.
사립대학 중 등록금 인상 대학은 75.5%인 114개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64개 중 55개(85.9%), 비수도권 87개 중 59개(67.8%)가 등록금을 올렸다.
국공립대학 중 등록금 인상 대학은 전체의 25.7%인 10개로 파악됐다. 수도권 8개 대학 중 3개(37.5%), 비수도권 31개 중 7개(22.6%)가 등록금을 인상했다.
등록금을 동결한 대학은 전체의 26.3%인 50개다. 이중 사립대학이 23개, 국공립대학은 27개로 파악됐다.
아직 등록금 인상 여부를 결정하지 못한 대학은 16개였다.
인상률은 5.00∼5.49%가 53개(42.8%)로 가장 많았다. 교육부가 올해 등록금 인상 상한으로 정한 5.49%까지 인상한 대학은 8곳(사립 5개·국공립 3개)으로 확인됐다. 등록금을 올리게 되면 인상률과 상관없이 국가장학금 Ⅱ유형 국비 지원이 제한되는 만큼 불이익을 상쇄하고자 높은 인상률을 책정한 것으로 분석된다.
'4.00∼4.99%' 51개(41.1%), '3.00∼3.99%' 8개(6.5%) 순이었다. '2.00∼2.00%'와 '1.00∼1.99%'는 각각 2개(1.6%)였다.
아울러 사총협은 지난해 대학 평균 등록금 현황도 공개했다.
2024학년도 학생 1인당 연간 평균 등록금은 682만7000원으로 조사됐다. 사립대는 762만9000원, 국공립은 421만1000원이었다.
수도권은 768만6000원, 비수도권은 627만4000원으로 확인됐다.
평균 등록금은 의학 계열이 984만3000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예체능(782만8000원), 공학(727만7000원), 자연과학(687만5000원), 인문사회(600만3000원) 순이었다.
금액 구간별로 보면 701∼800만원 구간이 81개(42.6%)로 가장 많았고 최저 구간인 200만원 이하 대학은 3개, 최고 구간인 800만원 이상 대학은 22개였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