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 4조 투입으로 민간 소비 40조 창출”
지역화폐·카드캐시백 ‘투트랙’ 방안 강구를
더불어민주당 안도걸 의원(광주 동남을)은 11일 “상생소비지원금 제도를 이번 추경에서 확대해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안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상생소비지원금 2조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지원 2조원 등 4조원의 재정을 투입해 40조원의 민간 소비 창출을 유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상생소비지원금(신용카드 캐시백) 사업은 코로나19 당시 침체된 소비를 활성화해 서민경제 및 골목상권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난 2021년 9월 2차 추경에서 도입된 바 있다. 당시 문재인 정부는 내수 회복을 위해 하반기 소비 증가분의 10%를 신용카드 캐시백 형태로 환급하는 상생소비지원금을 지원했다.
월간 카드 사용액이 전분기 사용액보다 3% 이상 증가 시 초과분의 10%를 캐시백으로 환급하는 제도다. 예를 들어, 2분기 월평균 사용액이 100만원이고 카드 사용액이 153만원인 경우 3%를 제외한 50만원의 10%인 5만원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1인당 월별 10만원 한도로 2개월간 지급했다.
당시 2개월간 총 1,566만명이 참여해 55%인 854만명이 혜택을 받았고, 지원금은 8,019억원에 달했다. 3% 초과분에 대한 10% 캐시백을 감안하면, 8조원 이상의 민간 소비를 유발한 셈이다. 실제 상생소비지원금 도입 후 카드 사용액은 전년 동월대비 13% 이상 증가했고, 2021년 4분기 민간 소비 증가율은 6.4%로 3분기(3.7%)대비 급증했다. 상생소비지원금 제도가 소비회복에 기여한 효과가 상당히 큰 것으로 분석됐다.
안 의원은 카드 사용액 월 100만원 미만의 중·저소득층에 대해서는 환급률을 15~20%로 상향하고, 기간은 2개월에서 3~4개월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지역화폐의 소비 촉진 효과도 큰 만큼 지역사랑상품권 20조원 발행을 지원하기 위해 2조원(할인율 10%)의 재정을 투입할 것을 제안했다. 지역사랑상품권은 골목상권에 사용처가 한정되어 골목상권 소비 유도와 소상공인 매출 회복에 적합한 제도다. 신용카드 캐시백은 직장인 등 중산층에 적합하고, 지역사랑상품권은 골목상권을 활용하는 서민층이 선호하고 있다
안 의원은 “서민층에게는 지역화폐 할인을 통해 소비를 지원하고, 중산층에게는 신용카드 소비 증가를 캐시백 형태로 지원하는 등 투트랙 방식의 전방위적 소비 진작책을 강구해야 한다”며 “추경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재정투입 규모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추경 예산이 조속히 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로켓 해지하고 넘어왔어요"…쿠팡 위협하는 다이소몰 '오늘배송'[천원템의 진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121316034587591_170245102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