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밀 수용으로 인한 업무 과중·인력부족 등 주요 요인 꼽혀
교정공무원 5명 중 1명이 정신건강 위험군으로 평가됐다. 주된 요인으로는 과밀 수용으로 인한 과중한 업무량과 인력 부족 등이 꼽혔다.
11일 법무부는 '2024년 교정공무원 정신건강 실태분석' 결과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9월 말부터 한 달 동안 전국 54개 교정기관에서 근무하는 공무원 5653명을 조사한 결과 1108명(19.6%)이 알코올 중독, 우울, 자살 생각, 단절감, 외상 후 증후군, 번아웃, 중독 경향성, 수면 문제, 불안, 분노 등 여러 마음 건강 요인 중 1개 이상 부문에서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평균적으로 수면문제(8.61점), 번아웃(7.98점), 단절감(7.72점)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정신건강 위험군의 경우 알코올중독(7.6%), 우울(6.3%), 자살생각(5.9%)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 성인과 비교해 조사 참여자의 자살계획 평생 경험률(6.7%)은 2.7배, 자살시도 평생 경험률(2.8%)은 약 1.6배 수준이었다. 주된 직무 스트레스 요인은 과밀 수용으로 인한 과중한 업무량과 인력 부족, 수용자 인권을 우선하는 분위기, 폐쇄된 근무 환경 등이 꼽혔다.
이에 법무부는 2022년 104%였던 교정시설 수용률이 지난해 125.3%까지 늘어 과밀 수용에 따른 사고가 급증해 이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가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법무부는 "교정공무원의 정신건강 회복 지원을 확대하고 증원 등 근무 여건 개선과 과밀 수용 해소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