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이재명 "계엄 성공했다면 엄청난 사상자 발생했을 것"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1일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을 선포한 것을 두고 "철저하게 계산한 계엄으로, 단 한 개라도 맞았다면 우리 국민이 저항하면서 엄청난 사상자들이 발생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 대표가 계엄을 예견한 것과 관련했는가를 묻는 데 대해서는 "확신했다"면서 "지난해 4.10 총선이 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났고, 그 후에 윤석열 정부가 하는 일을 보니 막다른 골목을 향해 질주하더라"고 답했다.

이 대표는 "예를 들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청문회에서 일부러 더 심하게 하고, 장관과 국무총리가 국회에 와서 글래디에이터로 변했다"면서 "인권위원장을 반인권적인 생각을 가진 분으로 임명하고, 독립기념관장의 8.15 축사는 논란이 됐던 일이 지금 와서 보니까 윤 대통령 스스로 퇴로를 다 막아버렸던 것"이라고 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철저하게 계산한 계엄"
"尹, 북한 국지전 유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1일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을 선포한 것을 두고 "철저하게 계산한 계엄으로, 단 한 개라도 맞았다면 우리 국민이 저항하면서 엄청난 사상자들이 발생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 대표는 이날 오전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 출연해 "계엄 실행으로 나라가 망했을 것이고 군사 정권이 언제까지 갈지 아무도 모르는 완벽한 혼란으로 빠져들었을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현장에 파견된 군인이 단 한명이라도 명령을 충실하게 이행했더라면, 헬기가 조금이라도 일찍 왔더라면, 우리 국민이 조금 늦게 왔더라면 계엄이 실행됐을지도 모른다"면서 "만약 그날 그들의 계획대로 됐더라면 사람들 다 죽었을 수 있고, 장갑차가 다 밀어버렸을지도 모른다"고 회상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현민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현민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 대표가 계엄을 예견한 것과 관련했는가를 묻는 데 대해서는 "확신했다"면서 "지난해 4.10 총선이 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났고, 그 후에 윤석열 정부가 하는 일을 보니 막다른 골목을 향해 질주하더라"고 답했다.


이 대표는 "예를 들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청문회에서 일부러 더 심하게 (망언을)하고, 장관과 국무총리가 국회에 와서 글래디에이터로 변했다"면서 "인권위원장을 반인권적인 생각을 가진 분으로 임명하고, 독립기념관장의 8.15 축사는 논란이 됐던 일이 지금 와서 보니까 윤 대통령 스스로 퇴로를 다 막아버렸던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저런 식으로는 공화정을 유지하지 못한다"면서 "퇴임한 후에 국민의힘의 누군가가 집권하면 본인(윤 대통령)의 안전이 유지되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본인(윤 대통령)이 모를 리가 없는데 끝없이 반국가적인 면으로 간다"고 직격했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유에 대해선 "법률가이기 때문에 형식을 갖추려고 했을 것"이라며 "소요, 즉 사변, 전시에 준하는 사유가 있어야 하는데, 사변은 국민 수준이 높아서 어렵다. 북한을 자극해서 국지전을 유발하고 그걸 통해 비상계엄을 하고 군정하는 게 비상계엄의 목표구나 싶었다"고 분석했다.


윤 대통령의 이런 의도를 북한에서 파악했을지를 묻는 데 대해서는 "그랬을 것 같다"며 "(북한이) 남침을 하려는 게 아니라 북침을 막으려고 장벽을 쌓는 걸 보면 이상하지 않나"라고 답했다.


지난해 북한은 휴전선 일대에 장벽을 세우는 등 남측과의 물리적 연결을 끊는 모습을 보인 바 있다.





문혜원 기자 hmoon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