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초미세먼지 농도 15.6㎍/㎥
관측 시작한 2015년 이후 역대 최저
중국 동북부 초미세먼지 농도 감소해
지난해 전국 초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중국발 미세먼지 유입이 줄고 국내 저감 정책이 강화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11일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는 15.6㎍/㎥을 기록했다. 2015년 초미세먼지 관측을 시작한 이후 가장 낮다. 초미세먼지 농도는 전년(18.2㎍/㎥)보다 14.3% 줄었고 2015년(25.2㎍/㎥)과 비교하면 38.1% 감소했다.
초미세먼지가 ‘좋음’(전국 일평균 15㎍/㎥ 이하)인 날은 212일로 집계됐다. 관측 이래 가장 많다. 반면 ‘나쁨’(전국 일평균 36㎍/㎥ 이상) 등급을 넘어선 일수는 10일로 역대 최저 수준이었다. ‘매우 나쁨’(전국 일평균 76㎍/㎥ 이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지역별로는 제주와 전남이 12.3㎍/㎥으로 가장 낮았고, 강원(12.9㎍/㎥)과 경남(13.0㎍/㎥)이 뒤를 이었다. 초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개선된 지역은 전북(16.0㎍/㎥)으로 2015년보다 54.8% 개선됐다.
환경부는 국내 정책효과가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환경부는 대기관리권역 사업장을 대상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 총량을 설정했다. 대상 사업장도 2020년 400곳에서 1013곳으로 확대했다. 배출가스 4등급 경유차를 대상으로 조기 폐차 지원을 시작했다. 2023년 97만6000대에 달하던 4등급 경유차는 지난해 82만2000대로 15.8% 줄었다.
중국의 초미세먼지 농도 감소도 한국의 맑은 하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한국과 인접한 중국 동북부 징진지(베이징, 톈진, 허베이) 및 주변 지역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지난해 42.2㎍/㎥이다. 201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당시 77㎍/㎥에서 45.2% 좋아졌다. 중국 장강 삼각주 권역도 53㎍/㎥이던 초미세먼지 농도가 33㎍/㎥으로 떨어졌다.
기상 상황도 초미세먼지 농도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 지난해 강수일수는 114일로 전년보다 6일 증가했다. 비가 많이 내릴수록 대기 정체 일수가 줄고 초미세먼지 농도도 줄어든다. 특히 2월에는 강수와 함께 동풍 계열 바람이 세차게 불었고, 3월에는 무풍(풍속 0.5 m/s 이하) 빈도가 줄어들면서 초미세먼지 저감이 이뤄졌다.
다만 고농도 초미세먼지는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만큼 환경부는 강화된 저감 조치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오는 3월까지 수도권 및 6대 특·광역시에서 5등급 차량의 운행을 제한하고, 대형 사업장의 자발적인 감축을 유도할 방침이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산업, 수송, 생활 등 핵심 배출원에 대한 집중적인 저감 정책으로 초미세먼지 농도 개선에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시행 중인 미세먼지 계절 관리제를 차질 없이 이행하고 초미세먼지로부터 국민건강 보호를 위한 조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로켓 해지하고 넘어왔어요"…쿠팡 위협하는 다이소몰 '오늘배송'[천원템의 진화]](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3121316034587591_170245102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