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10%, 캐나다·멕시코 25% 땐 영향 미미
보편관세 부과 때부터 수출량 감소 변곡점
"민관 합동으로 대미 아웃리치 활동 나서야"
미국이 중국이나 캐나다·멕시코를 향한 관세를 부과했을 때보다 향후 '보편 관세' 도입 여부가 우리 기업들의 수출에 변곡점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미국의 관세 부과 시나리오별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조치에 따른 영향 분석' 보고서를 9일 발표했다. 시나리오는 ▲대중 관세 10% 부과 ▲대중 관세 + 캐나다·멕시코 25% 관세 부과 ▲중국·캐나다·멕시코 관세 부과 + 보편 관세 10% 등 3단계로 구성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만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1단계 시나리오에선 한국의 전체 수출 감소 영향이 전년도 총수출의 0.1%에 해당하는 4억1000만달러로 나타났다. 여기에 2단계로 넘어가 현재 유예된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가 이뤄져도, 수출 감소 폭은 앞선 시나리오보다 작은 0.03%, 2억2000만달러 수준으로 집계됐다.
관세 부과 대상국의 중간재 수요가 줄어들며 우리나라의 수출이 줄어들지만, 미국 시장에서의 반사 이익으로 증가한 대미 수출량이 이를 상쇄할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보고서는 미국이 모든 국가에 보편 관세를 부과하는 3단계 시나리오에 이르러 우리 수출 감소 폭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경우 대미 수출 -100억3000만달러, 대멕시코 수출 -15억7000만달러 등 총수출이 1.9%, 132억달러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특정 국가를 겨냥한 관세 조치로 수출 반사 이익을 거두는 것보다 보편 관세에 따른 직접적인 감소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할 것이라는 해석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 감소 폭은 타 국가와 비교하면 그리 크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7.85%)은 최근 3년(2022~2024년) 미국의 수입 상위 30개국 중 칠레(-2.26%), 호주(-7.04%), 일본(-7.32%)에 이어 네 번째로 적게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양지원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현재까지 언급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특정국 관세 조치가 우리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대체로 제한적"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보편관세가 도입되는 시점이 수출 감소의 변곡점이 될 수 있는 만큼 민·관이 지혜를 모아 선제적으로 대미 아웃리치 활동을 확대하고 관세 전쟁 장기화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