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트럼프 지출 삭감 정책에 美전역 '일자리 대란' 우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USAID 1만명→290명…정부관련 기관·기업 줄해고
새 직장 구해도 "또 해고당하나?" 우려
전문가 "경제 영향 무시 못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광범위한 연방 자금 삭감·동결 정책으로 인해 미 전역에서 일자리 감소가 발생하고 있다. 이 같은 감소세가 향후 몇 주간 가속화돼 미국 전체 노동시장을 위협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연방 자금 삭감 정책 여파로 지난 2주간 미국 민간 부문 일자리가 수천 개 줄었다고 보도했다. 브루킹스 연구소에 따르면 750만명 이상의 미국인이 연방정부와 직접 연결된 일자리에서 근무하고 있다. 연방과 간접 연결된 직책에서 일하는 사람도 수백만 명에 달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구조조정에 착수한 국제개발처(USAID) 웹사이트. 게티이미지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구조조정에 착수한 국제개발처(USAID) 웹사이트. 게티이미지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전문가들은 7일 발표되는 미 노동부 1월 고용보고서를 인용해 지난달 비농업 신규 고용이 15만4000건 증가해 직전월(25만6000건) 대비 감소하고, 실업률은 4.1%로 전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경제학자들은 정부 관련 일자리 감소가 지표에 나타나기까지 몇 주에서 몇 달이 걸릴 것으로 본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구조조정에 착수한 국제개발처(USAID) 직원 1만명 중 290명만 남길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또 트럼프 행정부는 230만명에 달하는 연방 공무원 규모를 5~10% 줄이는 것을 목표로 자발 퇴직 프로그램을 추진하는데, 5일까지 4만명 이상이 퇴직을 신청했다.


정부 관련 기관·기업들은 줄줄이 프로젝트를 취소하고 직원을 해고하고 있다. 노스캐롤라이나주 페이엣빌과 오스틴에서 계약직 일자리가 취소됐고, 연방 자금으로 직원들에게 급여를 지급하는 웨스트버지니아주 독립생활시설 직원들은 해고됐다. 메인주 방과 후 프로그램과 버지니아주 지역 건강 센터에서는 연방 자금 지원이 지연되며 직원들이 휴직에 들어갔다.

워싱턴D.C.에 본사를 둔 국제개발회사 케모닉스 인터내셔널은 USAID가 자금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에 중단 명령이 내려오자 미국인 직원 600명을 휴직시키고 300명의 근무 시간을 단축했다. 메릴랜드주 베데스다에 있는 DAI글로벌은 400명의 근로자를 휴직시켰는데, 이는 이 회사가 고용한 미국인 직원의 70%에 달하는 인원이다.


연방정부 관련 일자리 근무자들은 대체로 교육 수준이 높아 일자리를 잃더라도 빠르게 재취업한다. 그러나 경제학자들은 최근 엄청난 일자리 삭감 규모로 상황이 복잡해졌다고 본다. 예컨대 국제 개발이나 환경, 기후 관련 부문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업계 전반이 침체하면서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줄리아 폴락 집리크루터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자발 퇴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연방 공무원들은 9월까지 급여를 받을 수 있지만, 정부 자금에 의존하는 민간 부문과 비영리 단체 직원들은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경제의 40%를 연방정부에 의존하는 워싱턴D.C.는 이런 정부 기조에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다른 지역도 예외는 아니다. 테리 클로워 조지메이슨대 지역분석센터 소장은 연방정부 일자리 5개가 없어지면 전국적으로 2개의 일자리가 추가로 없어진다며 "대학 연구실에서 일하는 과학자에 자금 지원이 끊기면 그는 일자리를 잃고, 가계 지출도 줄고, 다른 일자리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미 노동부 수석 이코노미스트 출신 해리 홀처 조지타운대 교수는 "자금이 너무 빨리 삭감되면 정부 계약이 위험에 처하고, 건강 연구가 보류되고, 수백만 명의 직원이 일자리에 대해 혼란스러운 메시지를 받는다"며 "이 문제가 어디로 이어질지 모르지만,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고 전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