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관련 국책연구단 공동연구사로 참여
롯데건설이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정부 연구과제에 참여해 직접 시공 현장에 시범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롯데건설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연구과제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 및 건설용 2차 제품 제조기술 개발'에 공동연구사로 참여했다. 이 기술은 미국과 캐나다에서 먼저 개발됐다. 롯데건설은 이를 국산화하고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기존 시멘트는 석회석을 1300도 이상에서 가열해 만든다. 이 과정에서 많은 탄소가 배출된다. 롯데건설 기술은 가열 온도를 200도 낮추고 석회석 사용을 30% 줄인다. 탄소 배출량이 크게 줄어든다.
'이산화탄소 반응경화 시멘트'는 물이 아닌 이산화탄소와 반응해 굳는다. 제조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를 자체적으로 흡수해 배출을 더 줄인다.
이 기술로 만든 염해방지 코팅제, 보도블록, 벽돌은 일반 제품보다 탄소 배출을 최대 70% 줄인다. 내구성도 뛰어나다. 지난해 12월 부산 롯데타워 현장에 염해방지 코팅제를 사용했다. 오산 세마 트라움 현장에는 보도블록을 시공했다.
롯데건설 기술연구원 관계자는 "친환경 신소재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경쟁력 있는 제품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롯데건설은 지난해 11월 '이산화탄소 주입 바닥용 모르타르' 기술도 개발해 현장에 적용했다. 산업공정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모르타르((시멘트와 첨가제 등을 혼합해 둔 건자재) 배합 과정에서 주입하는 방식이다. 시멘트 사용량이 줄고 탄소 배출이 감소한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