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임기 중 이란 핵무기 보유 못해"
이란의 석유 '큰 손' 고객은 중국
중국의 에너지 타격 불가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 압박을 최대한 강화해 석유수출을 완전히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이스라엘을 공격한 하마스 등 중동 무장조직의 배후인 이란의 세력을 약화시켜 중동정세 안정화를 꾀하려는 목적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중국과의 관세협상을 앞두고 이란산 석유 의존도가 높은 중국을 압박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이란 석유수출 0으로" 대이란제재 강화 천명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를 최대한도로 강화하고, 제재위반에 대한 대응조치를 강화하도록 정부에 지시하는 내용의 각서(memorandum)에 서명했다. 해당 각서는 미 재무부와 국무부에 이란의 석유수출을 '0'으로 만들기 위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각서에 서명하면서 "이란에 대한 강경한 대응이 계속됐다면 이란의 지원을 받은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기습공격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우리는 이 조치를 많이 사용하질 않기 바라며 이란과 향후 어떤 협상을 할 수 있을지 두고볼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을 방문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을 갖고 공동기자회견에서 "미국이 가자지구를 접수할 것이며, 그곳에서 할 일을 하겠다. 우리가 소유하면서 그곳에 남아 있는 위험한 불발탄과 기타 무기들을 제거할 책임을 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란에 대한 제재 강화와 함께 가자지구 장악 등의 조치는 중동 내 이란 세력을 크게 약화시키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란이 배후 지원하던 하마스와 헤즈볼라 등 무장조직이 이스라엘과 교전으로 조직이 상당히 무너져있고, 친이란 세력이던 시리아의 알 아사드 정권도 붕괴된 상황에서 미국과 이스라엘이 이란을 협상테이블로 끌어내고자 매우 강경한 조치들을 발표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란 석유 의존도 높은 中 타격…관세협상 앞두고 압박
하지만 일각에서는 중국과의 관세전쟁까지 고려해 대(對)이란제재 조치를 강화한 것이란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이란의 석유수출 제재를 강화하면 이란산 석유 최대 수입국인 중국의 에너지 전략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이란이 수출한 석유 규모는 540억달러(약 78조원)로 2018년 대이란제재 이후 6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해당 석유 중 90% 이상은 중국으로 수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정부가 지난해 4월부터 중국에 수출되는 이란산 원유에 대한 제재에 들어갔지만, 이란의 중국 석유 수출을 막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BBC는 최근 보도에서 중국과 이란이 미국의 제재조치를 회피하기 위해 '그림자선단(Shadow fleet)'을 이용해 석유를 운송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그림자선단은 석유 밀수를 위해 추적이 어렵도록 선박의 자동식별시스템(AIS)을 끄고 운영하면서 일반 해상보험을 이용하지 않는 노후 중고 유조선으로 석유를 운반하는 선단을 뜻한다.
그림자선단의 배를 이용해 중국에 도착한 이란산 석유는 말레이시아산 또는 아랍에미리트(UAE)산으로 원산지가 바뀐 후, 소규모 독립 정유업체들이 구매하는 방식으로 전달된다. 달러결제를 피하기 위해 위안화로 대금을 결제하는데, 결제는 추적이 어려운 소규모 은행을 통해서만 하고 있다. BBC는 "중국은 국제유가 평균 대비 배럴당 5~10달러 정도 싼 가격에 이란산 석유를 수입하고 있다"며 "이에따라 이란산 석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 상태"라고 지적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7300만원은 줘야 다니지"…Z세대, '연봉' 없는 채용공고 기피[세계는Z금]](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31109462462575_1741653984.p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