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건설, 새로운 도약] 대우건설
대우건설, 투르크메니스탄서 중앙아시아 첫 수주
정원주 회장 '해외 도시개발 사업' 새 먹거리 강조
베트남 스타레이크시티 이어 끼엔장 신도시 개발
지난해 창립 50주년을 맞은 대우건설이 향후 100년 기업으로 지속 성장하기 위해 해외 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특히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은 '임직원이 필요로 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가서 누구와도 만나겠다'며 해외 영업맨을 자체해 뛰고 있다. 국내 건설업계가 침체 기류에 휩싸였지만, 대우건설은 정 회장의 분주한 행보 속에 조금씩 성과를 내고 있다.
투르크메니스탄 등 신시장 개척…"세계 건설 디벨로퍼 도약"
정 회장은 2022년 11월 투르크메니스탄에 국빈으로 방한해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국가 최고지도자를 예방했다. 이 자리에서 현지 진출에 대한 의사를 전달한 뒤 비료공장 2건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후 지난해 5월과 11월, 올해 6월과 11월 총 4차례 재방문했고, 1건의 미네랄 비료공장 건설공사를 따냈다. 대우건설이 중앙아시아에서 첫 번째 사업을 수주한 것이다. 대우건설 측은 2건의 MOU를 체결했지만, 수익성을 검토해 1건의 사업만 낙찰받았다고 설명했다.
정 회장은 투르크메니스탄을 방문할 때마다 대통령, 건설·전력·생산담당 부총리, 수도인 아쉬하바트 시장 등 최고위 주요 관계자들과 만났다. 그는 현지에서 추진 중인 아쉬하바트 신도시 건설 사업을 비롯해 친환경에너지, 인프라 등 추가 사업에 대한 진출 의지를 전달하며 관계를 이어왔다. 지난달 열린 CIET 2024(건설?산업?에너지) 콘퍼런스에 초청받아 방문했을 때는 라힘 간디모프 아쉬하바트 시장으로부터 아쉬하바트 신도시 기획·개발 관련 지원·협조를 요청받기도 했다. 스마트 시티와 신도시 개발, 초고층 빌딩 등 전 분야에 걸친 대우건설의 기술과 경험을 높이 평가한 것이다.
대우건설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앙아시아의 거점 시장으로 성장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중앙아시아 지역 국가들은 자원이 풍부하고 성장 잠재력이 크다. 그러나 개발 경험이 부족해 속도를 내지 못한 국가들이 많다. 투르크메니스탄의 경우 안정적인 국내 환경을 기반으로 신도시, 인프라, 친환경에너지 등에 대한 투자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정 회장이 투르크메니스탄과 같은 신시장을 개척하는 동시에 대우건설의 미래 먹거리를 위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야가 '해외 도시 개발 사업'이다. 이미 평택 브레인시티, 전남 신대배후단지 등 택지 개발 사업 경험이 많은 정 회장은 대우건설 편입 이후 해외 시장을 둘러보면서 도시 개발 사업에 대한 가능성을 크게 평가했다. 그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스타레이크시티 신도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대우건설의 해외 네트워크와 중흥그룹의 경험·노하우 등을 결합하면 시너지가 클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정 회장은 올해 시무식에서 "단순 시공만으로는 이윤 확보와 성장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 해외에서도 시행과 시공을 병행하는 디벨로퍼로서 성과를 거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 건설 디벨로퍼로 거듭나기 위해 정 회장은 2022년부터 올해까지 전 세계 16개 국가를 방문하며 시장을 점검하고 현지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미국 뉴저지를 중심으로 한 북미 지역, 나이지리아를 중심으로 하는 아프리카 지역, 싱가포르·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한 동남아시아 지역 등 3곳을 축으로 삼아 개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베트남 끼엔장 신도시 개발…제2·3의 스타레이크시티 본격화
정 회장의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대우건설은 지난 8월 베트남 타이빈성에서 '끼엔장 신도시 개발 사업' 투자자로 승인받았다. 이 사업은 타이빈성의 성도 타이빈시 일대에 약 96만3000㎡ 규모의 상업시설과 아파트 등을 짓는 것으로, 내년부터 2035년까지 10년에 걸쳐 약 3억9000만달러를 투자해 조성한다.
대우건설은 이번 신도시 개발 계획을 직접 주도해 주거·상업·교육·녹지·문화 등이 어우러진 신도시를 건설한다. 전체 개발 콘셉트와 아이덴티티를 수립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자평했다. 베트남을 시작으로 인도네시아, 인도, 나이지리아, 캐나다 등 세계 각국에서 개발 사업을 검토해 해외 분야 매출을 전체의 70%까지 끌어올린다는 것이 대우건설의 계획이다.
대우건설은 해외 도시 개발 사업 확대가 글로벌 건설기업으로의 성장에 중요한 토대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했다. 대우건설은 이미 절대적인 경쟁력을 확보한 나이지리아, 베트남, 이라크, 리비아 등지에서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석유화학 플랜트, 신항만, 비료공장 건설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 투르크메니스탄, 체코 등 신시장 개척도 병행하며 해외 사업 포트폴리오의 다각화·고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국내 부동산 시장은 유동성과 정책에 따라 등락을 반복해 왔기에 당분간 침체는 피할 수 없다"며 "공공 시장도 경제 규모와 함께 한계가 올 수밖에 없어 100년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해외 시장 확대를 통한 글로벌 건설기업으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경영진에서 영업사원 역할을 자임해 해외를 직접 뛰는 만큼 전 임직원의 의지를 모아 세계 건설 디벨로퍼로 도약하는 기업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골프치던 MZ들 다 어디갔나요"…줄줄이 '철수' 하...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