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특전사령관 '계엄' 때 윤대통령과 두 차례 통화…내용은 “…”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곽종근 사령관, 국회 국방위서 “통화 내용 제한”

곽종근 특전사령관은 10일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석열 대통령과 두 차례 통화했다고 밝혔다. 다만, 통화 내용에 대해선 입을 닫았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곽 사령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 질의에 출석해 '대통령과 한 차례가 아니라 두 차례 통화한 것 아니냐'는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의 추궁에 "두 차례 통화했다"고 시인했다. 그는 지난 6일 특전사령부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병주·박선원 의원을 만나선 비상계엄 선포 때 윤 대통령과 한 차례 통화했으며, 특전사 병력 위치를 물어 "국회로 이동 중"이라고 답변한 바 있다. 곽 사령관은 두 번째 통화 내용에 대해선 여러 차례 질문에도 "말씀드리기 제한된다"고 답변을 거부했다.

그는 지난 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했을 당시 '국회의원이 150명이 넘으면 안 된다는 지시가 있었냐, 누가 지시했냐'는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의 질의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지시였다고 밝혔다. 곽 사령관은 "제가 (특전사) 전투통제실에서 비화폰을 받으면서 국회의사당 안에 있는 인원(국회의원)이 100∼150명 넘으면 안 된다는 그런 내용이 위(국방부 장관)로부터 지시가 내려온 상황이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나중에 알았는데 (당시) 마이크 방송이 켜져 있었던 것 같다"며 "그러한 내용이 그대로 예하 부대에 전파가 됐고 그러면서 거기(본회의장)에 들어갈 수 있는 방법, 공포탄, 테이저건 이런 것들이 그대로 사용하는 것처럼 전파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실제 그것은 제가 그것을 사용하라고 지시해서 전파된 것이 아니고 지시받는 내용이 그대로 마이크 방송으로 전파돼, 예하부대에서 혼선이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그 지시를 받고 제가 현장부대 지휘관에게 지시받은 상황에 대해 설명을 하고 논의를 하면서 이것은 명백히 제한되고 잘못된 것이라고 판단했다"며 김 전 장관의 지시를 이행하지 않았다는 취지로 말했다.


앞서 계엄사령관을 맡았던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은 지난 5일 국방위에 출석해 곽종근 사령관이 테이저건과 공포탄 사용을 건의했지만, 막았다고 주장했는데, 이를 부인한 것이다.

곽 사령관은 '특전사 예하 7공수와 13공수는 누가 대기를 지시했냐'는 질의에는 "임무를 부여할 때 제가 지시했다"며 "스스로 판단한 것"이라고 답했다. 비상계엄 선포 당시에는 1공수와 3공수, 9공수, 707특수임무단 등 특전사 예하 4개 부대가 국회와 선관위 등으로 출동했고, 7공수와 13공수는 출동하지 않았다. 곽 사령관은 서울과 가까운 부대를 출동시키면서 각각 전북과 충북에 있는 7공수와 13공수에는 대기를 지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어제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 소속 검사가 내란 음모 및 실행(비상계엄)과 관련해 윤석열이 아니라 김용현을 중심으로 이뤄진 것처럼 질문하지 않았느냐'는 조국신당 조국 의원의 질의에는 "그렇다"고 답했다.


검찰 비상계엄 특수본은 전날 곽 사령관을 서울중앙지검으로 불러 조사했다.





양낙규 군사전문기자 if@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