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전지용 리튬 원료 공급망 확보
연 3만톤 규모 생산 공장 설립 추진
포스코홀딩스가 호주 광산기업 핸콕(Hancock Prospecting)과 손잡고 이차전지용 원료 공급망 강화에 나섰다.
10일 포스코홀딩스에 따르면 전날 핸콕과 리튬 사업 협력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과 호주를 영상으로 연결해 진행한 이날 체결식에는 포스코홀딩스 김준형 이차전지소재총괄(부사장)과 게리 코르테(Garry Korte) 핸콕 CEO 등 양사 경영층이 참석했다.
포스코홀딩스와 핸콕은 이번 업무협약으로 연산 3만톤 규모의 리튬 사업을 추진한다. 양사는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 중 최적의 리튬 공장 설립 후보지를 함께 검토할 예정으로, 투자금액 등 상세내용은 추후 구체화해 나가기로 했다.
포스코홀딩스는 이번 협력으로 핸콕이 보유한 다양한 광산 자산과 연계해 미국 해외우려기관(FEOC) 규제로부터 안정적인 리튬 원료 공급망을 추가로 확보하고, 리튬 광산·염호에서부터 수산화리튬, 양극재, 리사이클링으로 이어지는 그룹 리튬 밸류체인을 한층 강화해 나갈 수 있게 됐다.
김준형 총괄은 “포스코홀딩스는 핸콕과 오랜 파트너십을 통해 신뢰를 쌓아왔다. 이번 리튬 사업 협력에서도 최적의 사업구도를 검토해 좋은 결실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핸콕은 서호주 퍼스(Perth)시에 본사를 둔 광산 전문기업으로 철광석 사업을 주 수익원으로 하고 있으며, 리튬·천연가스·희토류 등으로 사업을 다변화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2010년 핸콕의 로이힐(Roy Hill) 철광석 광산 지분 12.5% 투자를 시작으로, 2022년 포스코인터내셔널과의 호주 천연가스기업 세넥스에너지(Senex Energy) 공동 인수 등 그룹 전반에 걸쳐 핸콕과의 협력 범위를 넓히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이차전지 시장 캐즘(Chasm, 단기적 저시황기)을 기회로 활용해 광산·염호 등 우량 리튬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시황 회복시 리튬시장 선점을 위한 자원 공급망 확대 및 사업 역량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아르헨티나 염수 리튬(연산 2만5,000톤), 광석 리튬(4만3,000톤) 공장 준공으로 전기차 약 16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인 총 연산 6만8,000톤의 리튬 생산능력을 확보한 바 있다.
호남취재본부 허선식 기자 hss79@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尹, 체포 직전 "2년 반 더 해서 뭐하겠나" 與의원...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