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계엄 사태보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수출 중심의 한국 경제에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입장을 외신에 밝혔다.
이 총재는 6일 보도된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계엄 사태로 한국 경제와 금융 시장에 대한 중요한 구조개혁이 지연될 것"이라고 인정하면서도 "중국의 경쟁 심화, 트럼프 관세 정책이 한국 수출업체에 미칠 영향과 비교했을 때 국내의 정치적 위기에 따른 경제적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선을 그었다.
계엄 사태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오래 가지 않았고 비교적 조용했다"며 "신속하고 포괄적인 예방조치로 빠르게 금융시장을 진정시키고 안정화시켰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최근 올해와 내년 경제 전망치를 낮춘 이유에 대해 트럼프의 관세 정책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은 우리가 올해 내년 전망치를 낮춘 주요 이유 중 하나"라며 "우리는 두 가지 이유로 수출 성장 예상치를 하향 조정했는데 하나는 관세 가능성이고, 또 다른 하나는 중국의 경쟁력이 정말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중국 내외에서 중국 상품 과잉공급이 매우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는 걸 알게 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번 계엄령 사태가 한국이 MSCI 선진국지수에 편입되지 못하는 이유를 방증한다는 주장도 정면으로 반박했다. 이 총재는 "한국의 개발도상국 지위가 북한 문제나 자본통제 때문이라고 한다면 이해한다"면서도 "하지만 MSCI가 '한국의 민주주의가 충분히 성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편입하지 않았다'고 설명하는 건 들어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대선 양자 대결 초접전…오세훈·홍준표, 이재명과...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