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폭설 피해 복구를 위해 376억원을 추가 지원한다. 이에 따라 경기도의 폭설 지원금은 기존 301억5000만원 등 총 677억5000만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6일 수원 경기도청에서 ‘폭설 관련 민생회복대책’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2일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안성과 평택시 등 피해 현장 방문 당시 ‘통상적인 것을 뛰어넘는 절차와 방법으로 빨리 (피해를) 복구하도록 하겠다’는 약속의 구체적 실행 방안으로 추가 지원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공공시설보다 더 큰 피해를 본 소상공인, 축산 농가, 농업인 등 민간 분야 피해복구를 위해 재난관리기금 30억원, 재해구호기금 300억원, 예비비 30억원, 특별조정교부금 16억원 등 총 376억원을 추가 지원한다.
경기도는 먼저 폭설로 가장 큰 피해를 본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긴급생활안정자금 300억원을 지원한다. 이럴 경우 피해를 본 소상공인은 최대 1000만원까지 긴급생활안정비를 받게 된다.
기존에는 재난 피해를 본 소상공인의 경우 재난지원금 300만원과 도 재해구호기금 200만원이 전부였다.
경기도는 이번 폭설로 인한 시설 붕괴로 재고 물품, 자재 파손 등이 다수 발생하고, 복구 시까지 영업결손 등으로 인한 피해가 예상돼 긴급생활안정비를 추가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경기도는 재난관리기금 30억원을 붕괴된 비닐하우스, 축산 시설 철거와 재난 폐기물 처리에 사용한다. 재난관리기금 30억원은 지난주 발표한 재난관리기금 73억5000만원에 추가된 자금이다. 추가 붕괴 등 2차 피해를 예방하고, 축산 및 영농 활동 재개를 위해 재난 현장을 신속히 정비하기 위한 조치다.
또 축산 농가 지원을 위해 50억원을 편성해 붕괴된 축사 철거, 고립된 가축 구조, 폐사된 가축 처리 등에 사용한다.
경기도는 폭설 피해를 본 농수산물시장, 체육시설 등 공공시설 피해 시설 복구를 위해 특별조정교부금 16억원도 추가 지원한다.
경기도는 이와는 별도로 정부에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하기로 했다.
김성중 도 행정1부지사는 "117년 만의 11월 폭설로 경기도에 수천억이 넘어가는 유례 없는 피해가 발생했다"며 "안타깝게도 경기 침체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이 심한 축산 농가, 농업인, 소상공인 등이 가장 큰 피해를 보아 시름이 가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현실을 신속하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즉각적이고 현실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며 "피해 지역 주민들이 재난지원금 추가 지원, 세제 감면 등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중앙정부가 최종 피해 금액 확전 전이라도 특별재난지역을 우선 선포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윤석열 대통령 "실패한 계엄 아냐, 예상보다 빨리 끝난 것"](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12315115711331_1737612718.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