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원인은 ‘주변 학생·선후배’
대책으론 ‘범죄 처벌 강화해야’
광주시의회, 학생·학부모 여론조사
광주에서 확산하고 있는 청소년 유해 요인으로 중·고등학생은 ‘유해약물 및 마약(27.6%)’, ‘온라인 사이버 도박(25.8%)’을, 학부모는 ‘온라인 사이버 도박(27.8%)’, ‘딥페이크 등 디지털 성범죄(27.2%)’를 각각 꼽았다.
또 청소년 유해 요인의 심각성을 묻는 질문에서는 중·고등학생 88.0%, 학부모 94.2%가 심각하다고 응답, 학생·학부모 모두 심각한 문제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광주시의회 의회운영위원회(위원장 정다은)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에 의뢰해 광주 거주 중·고등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한 ‘청소년 유해 요인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다.
5일 광주시의회에 따르면 최근 온라인 도박, 딥페이크 성범죄 문제 등에 대한 학생·학부모 인식 분석과 체계적인 대응계획 마련을 위해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내용은 ‘청소년 유해 요인’에 대한 ▲심각성 인식 ▲간접경험 여부 ▲확산 원인 ▲대응책에 대한 인식 및 평가 등이다.
청소년 유해 요인에 대한 학생들의 간접경험 비율은 ‘전동킥보드 등 무면허 운전’이 73.1%로 가장 높았고, ‘유해약물 및 마약’ 59.3%, ‘온라인 사이버 도박’이 48.7%로 그 뒤를 이었다.
청소년 유해 요인의 주요 원인에 대해서는 학생과 학부모 간 견해 차이가 눈에 띄었다. 중·고등학생은 ‘주변 학생 및 선후배(32.2%)’를 가장 많이 꼽은 반면, 학부모는 ‘인터넷 유해 사이트(27.0%)’를 주요 원인으로 생각했다.
학교와 사회에서 유해 요인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은 중·고등학생의 50.7%는 ‘범죄 처벌 강화’, 15.6%는 ‘학교에서의 예방 교육’, 학부모의 경우 33.4%가 ‘범죄 처벌 강화’, 26.8%는 ‘학교에서의 예방 교육’이라고 답했다.
정다은 운영위원장은 “이번 여론조사 결과를 광주시교육청과 공유하고, 조례와 법령이 정하는 범위 내에서 예방 및 대응계획을 점검하겠다”며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조사 결과를 분석해 향후 모두가 지지하고 공감할 수 있는 정책이 수립될 수 있도록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이어 “시교육청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청소년 유해 요인에 대한 정확한 실태 파악과 함께 실효성 있는 대책을 적극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코리아정보리서치가 지난달 13~21일 9일간 광주 거주 중·고등학생 2,332명(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0%p), 학부모 500명을 대상(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4.4%p)으로 온라인 및 전화 면접 방식으로 수행했다.
청소년 유해 요인 조사 범위는 ▲온라인 사이버 도박 ▲딥페이크 등 디지털 성범죄 ▲유해약물 및 마약 ▲전동킥보드 등 무면허 운전 ▲고금리 사채 및 휴대폰깡 등 5가지로 한정했다.
호남취재본부 강성수 기자 soostar@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출근 못하면 회사 잘려, 도와달라" 법원 폭동 가...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