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노동당 정치국, 연말 전원회의 소집 결정
지난해엔 '두 국가론' 선언…남북 단절 조치
북·러 밀착 과시…새로운 대미 노선 나올 듯
북한이 다가오는 연말 전원회의 소집을 예고했다. 지난 연말에는 '적대적 두 국가론'을 처음 제시했고, 올해 내내 그에 따른 남북 단절 조치가 이어졌다. 내년 초 출범하는 '트럼프 행정부' 2기에 대한 대응 전략과 더불어 북·러 관계를 공고히 하는 입장이 나올지 주목된다.
3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은 이달 하순 제8기 제11차 전원회의를 소집하기로 결정했다. 올해 당 및 국가 정책들의 집행정형을 총화하고 내년도 투쟁 방향을 확정하는 자리다. 정치국은 '중요한 일련의 문제'를 토의·결정하겠다고 예고했다.
북한은 연말마다 전원회의를 통해 한 해 사업을 결산하고 다음해 국정 방향을 제시한다.
지난해 12월에는 26~30일 닷새간 회의를 진행했다. 당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남북 관계를 동족이 아닌 '적대적 두 국가 관계'라고 처음으로 규정했다. 이후 북한은 올해 내내 남북 연결도로를 폭파하거나 구조물을 파괴하는 등 물리적 단절 조치를 지속해왔다.
올해 전원회의에선 우선 러시아와 군사동맹을 복원한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협정' 체결,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19형' 등 국방력 강화 실정, 김 위원장이 주력해온 지방발전 20×10 정책 등 경제 분야 성과에 대한 평가부터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이 꺼낼 새로운 방침 가운데 가장 큰 관전 포인트는 '대외 관계'에 대한 변화다. 우선 전쟁 파병으로 한창 밀착 중인 러시아와 밀월을 더 공고히 할 가능성이 크다. 군사 협력은 물론 첨단기술 전수, 문화·관광 교류 등 보다 구체적인 발전 방향이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내년 1월 '트럼프 2기' 출범에 맞춰 새로운 대미 노선이 나올지도 주목된다.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은 김정은 위원장과의 친분을 과시해왔지만, 북한은 거리를 두고 있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21일 "이미 미국과 협상주로의 갈 수 있는 곳까지 다 가봤다"며 대화 재개에 선을 그었다.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27일이냐 31일이냐…계산기 두드려본 정부 "27일이...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