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메가캐리어 시대…대한항공이 경쟁할 공룡들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메가캐리어 탄생]
대한항공, 여객 20위권, 화물은 5위권 등극
글로벌 메가캐리어도 덩치 키우고 있어
항공기 구입·임대시 협상력↑

아시아나항공 인수로 세계 10위권 ‘메가캐리어(초대형항공사)’로 떠오른 대한항공 의 경쟁상대는 미국 3대 항공사를 비롯해 아랍에미리트(UAE)의 에미레이트항공, 독일 루프트한자 등이 거론되고 있다.


29일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지난해 발표한 ‘세계 항공운송 통계(WATS)’에 따르면 2022년 유상여객킬로미터(RPK·항공편당 유상승객수에 비행거리를 곱한 지표) 기준 1~4위는 모두 미국 항공사다. 아메리칸에어라인이 3081억5500만㎞로 1위를 기록했고, 이어 유나이티드항공(3061억㎞), 델타항공(2923억900만㎞), 사우스웨스트항공(1993억500만㎞) 등의 순서였다. 압도적인 국내선 수요에 따른 결과다. 에미레이트항공은 1988억2600만㎞로 5위에 올랐다.

대한항공은 314억400만㎞, 아시아나항공은 184억5100만㎞로 각각 47위, 79위에 그쳤지만 두 회사를 더하면 순위는 30위권으로 진입한다. 화물 부문에서는 국내 항공사들의 역량이 더 두드러진다. 화물톤킬로미터(CTK·유상화물 운송 중량에 비행구간 거리를 곱한 것) 지표에서 대한항공은 95억1800㎞로 5위에 올랐다. 주요 메가캐리어로 꼽히는 에미레이트항공(101억5300㎞)과 맞먹고 루프트한자(51억5300㎞), 유나이티드항공(44억2900㎞), 에어프랑스(35억4900㎞)를 모두 제쳤다.


메가캐리어들은 더욱 덩치를 키우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델타항공은 노스웨스트항공을 품었고 유나이티드항공은 컨티넨탈항공과 하나가 됐다. 아메리칸항공도 US에어웨이즈를 합병했다. 루프트한자는 유럽 내 4개 항공사를 인수하면서 몸집을 불렸다.


중동 항공사들은 더욱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에미레이트항공은 최근 암스테르담, 세부, 클라크, 루안다 등 전 세계 8개 도시에 정기 항공편을 증편했다. 화물을 포함해 80개국 148개 공항에 취항했다.

대한항공이 이같은 공룡들과 겨루기 위해서는 아시아나항공 흡수가 필수였다는 시각도 있다. 덩치가 클수록 항공기 제작사나 리스사와 협상할 때 보다 좋은 조건으로 계약할 수 있다. 당장 지금 들어가는 항공기 임대 비용도 보다 낮출 수 있는 여지를 만든 것이다. 대규모 항공기정비(MRO)사업도 자체적으로 벌이고 있는 만큼 아시아나항공이 단독 운영 시 발생했던 것보다 정비 일관성과 비용 절감도 노릴 수 있게 된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