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상원이 오는 6일(현지시간) 러시아와 북한의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북·러조약) 비준을 논의한다.
5일 러시아 관영 타스 통신은 러시아 상원 국제문제위원회가 상원에 북·러조약 비준안을 승인할 것을 권고했다고 보도했다.
북·러조약은 지난달 24일 하원 비준을 받았다. 상원 비준을 거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서명을 받으면 러시아 내 비준 절차가 마무리된다. 앞서 지난 6월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체결한 이 조약엔 양측 중 한쪽이 무력 침공을 받아 전쟁상태에 처하면 다른 한쪽이 군사 지원을 제공한다는 내용이 있다. 이에 사실상 군사 동맹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그러나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은 "조약은 군사동맹 구성을 규정하지 않을뿐더러 어떠한 제3국도 위협하지 않는다는 점이 강조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 조약이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지정학적 현실을 반영한다며 "이러한 과정은 모두 미국과 이 지역 미 동맹들이 촉진한 정책과 관계있다"고 주장했다.
이날부터 미국 대선이 시작된 가운데 차기 미국 대통령과 한반도 관련 회담이 재개되기를 바라느냐는 질문에는 "우리는 언제나 한반도 6자 회담에 참여한 미국 정부와 그의 동맹국들의 분별 있고 이성적인 접근을 위해 최선을 희망한다"고 답했다.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에 대해선 "이는 북한의 자체 방어 능력을 보장하기 위한 정당한 조치"라고 말했다. 북한은 이날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여러 발을 발사했다. 러시아가 북한에 우주기술을 제공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나에게는 그런 정보가 없다"고 했다.
지난 1일 최선희 북한 외무장관이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 '전략 대화'를 하면서 북·러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의 상호군사지원 조항을 논의했느냐는 물음엔 "상호 관심 있는 모든 문제를 논의했다"고 답했다. 이어 이번 외무장관 회담이 지난 6월 북·러조약 체결 이후 처음이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합의한 모든 문제가 논의됐기 때문에 전략적이라고 덧붙였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전날 미국 국무부가 '북한군 최소 1만 명이 러시아 쿠르스크로 이동했다'고 발표한 데 대해 "이 문제를 거론하는 모든 미국 당국자는 늘 결정적 증거를 제시할 수 없다는 말을 덧붙이며 그런 주장을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크라이나와 여러 유럽 국가는 우크라이나 분쟁을 국제화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은 나라가 개입하도록 한다"며 "그들은 한국이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속보]박범계 "특전사령관, 계엄 관련자들 말 맞췄...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