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여론조사마다 취임 후 최저치 경신
TK, 60~70 등 핵심 지지층 이반 커져
10%대 지지율로는 국정 동력 확보 어려워
11월 10일 임기 반환점을 앞둔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은 온통 ‘빨간불’이다. 취임 후 지지율을 발표해왔던 정례 여론조사들은 대통령 지지율이 취임 후 ‘최저’를 찍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5일 여론조사 업체들의 여론조사 동향은 대체로 동일했다. 4일 발표된 리얼미터의 여론조사(ARS 방식)나 전국지표조사(NBS, 전화면접방식), 갤럽(전화면접방식)의 여론조사는 숫자는 달랐지만, 방향성이나 핵심 키워드는 모두 일치했다. 우하향, 집권 후 최저 기록 경신 등이었다. 윤 대통령은 과연 집권 후반기 터닝포인트를 찾을 수 있을까.
윤 대통령 지지율 ① 낮은 지지율로 시작한 대통령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집권 전반기 대체로 20~30%대 선을 횡보했다. 하지만, 집권 초반에는 50%를 넘어섰다. 취임 후 갤럽의 첫 여론조사(2022년 5월 13일 공개)에서 51%를 기록했다. 이후 지방선거에서 승리를 거둔 후에는 53%를 찍기도 했다.
다만 윤 대통령의 지지율은 이전의 다른 대통령과 비교했을 때 높은 수준은 아니었다. 당선인 시절 용산 대통령 집무실 이전 논란과 문재인 전 대통령과의 신·구 권력 대결 흐름 속에서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취임 후 첫 지지율 조사서 ‘향후 5년간 직무를 잘 수행할 것으로 보는지’에 대해 응답자의 60%가 "잘할 것"이라고 답했다. 같은 질문에 대해 김영삼 전 대통령의 경우 85%가 잘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79%, 박근혜 전 대통령은 79%, 문재인 전 대통령은 87%였었다.
윤 대통령 지지율② 짧았던 허니문
허니문 기간 역시 짧았다. 윤 대통령은 2022년 8월 1주에 지지율이 24%를 찍었다. 취임 후 100일이 채 안 되는 기간 지지율이 반 토막이 났다. 집권 초 기대감이 급격히 꺾인 데에는 이준석 당시 국민의힘 대표(현 개혁신당 의원)와의 갈등과 경찰국 신설 등 개혁 방향을 둘러싼 혼란 등이 컸다.
여권의 주요 지지층이었던 대구·경북(TK) 지지율과 보수층 지지율은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보다는 우세하긴 했지만, 그 격차가 한 자릿수 차이가 안 나는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후 윤 대통령 지지율은 20~30%대 사이를 오갔다. 이후 노조 문제에서 일관된 대응 기조와 한미 관계 강화, 부동산 시장 가격 안정화 등은 강점으로, 후쿠시마 오염수 논란 등은 약점으로 작용했다.
윤 대통령 지지율③ 승부수, 의료개혁
과감한 개혁 시도는 여론을 반전시키는 계기가 됐다. 윤 대통령은 올해 2월 초 의대 정원을 2000명으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과거 정부에서 추진하지 못했던 의료개혁 움직임에 국민들은 화답했다. 올해 2월 5주, 3월 1주 윤 대통령의 갤럽 지지율은 39%를 기록하며 20~30%대 박스권을 탈출했다. 총선에서도 여소야대 국면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 같았다. 대통령 국정 수행에 대해 지지를 밝혔던 응답자들은 의대 정원 확대를 윤 대통령을 지지하는 가장 큰 이유로 꼽았었다.
하지만 이런 기대는 시간이 지나면서 사전 준비 없이 추진된 의료개혁이라는 점이 부각되면서 의료공백 논란으로 이어졌다. 이후에는 지지율의 부담으로 작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총선이 있었다. 정부는 총선을 기점으로 여소야대 정국을 깨뜨리고 중반 이후 정국을 주도할 개혁동력을 얻기를 희망했다. 하지만 총선에서 참패해, 결국 임기 내내 여소야대 국면에서 국정을 이끌게 됐다. 총선에서 차가운 표심이 확인된 뒤 윤 대통령 지지율은 20%대 초반으로 내려앉았고, 30% 선을 회복하지 못했다.
윤 대통령 지지율④ 20% 선도 무너졌다
가장 최근 조사인 지난 1일 여론조사(2024년 10월 5주)에서는 20%대 박스권이 깨졌다. 19%를 기록해, 취임 후 처음으로 10%대로 내려앉았다.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에 더해 윤 대통령과 정치브로커 명태균씨의 통화 내용이 알려지면서 여론은 더 싸늘해졌다.
취임 후 첫 여론조사와 전반기 마지막 여론조사(2024년 10월 5주)를 비교해보면 윤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이 급격히 흔들리는 모습이 드러난다. 임기 초 윤 대통령에 대해 60% 이상의 지지를 보인 인구 집단은 대구·경북(TK)과 부산·울산·경남(PK), 60대와 70대 이상이었다. 하지만 10월 2주 조사에서 국정 수행에 대해 44%로 긍정 평가와 부정 평가가 동률을 기록한 국민의힘 지지층을 제외하고는 모든 응답층에서 부정 평가가 우세했다. 지지층의 핵심 버팀목이 사라졌다.
지지율 바닥은 어디인가
전문가들은 윤 대통령 지지율의 바닥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통상 대통령의 지지율은 하방선이 있는데, 이런 하방선이 확인되면 U자 형태로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왔다"며 "윤 대통령의 경우에도 개혁 정책을 제시한다거나 해외 순방 등으로 이런 효과를 만들어냈는데, 이제는 이런 효과가 대부분 사라졌다"고 분석했다. 홍 소장은 "현재는 윤 대통령 핵심 지지층인 보수층까지 이반하는 상황"이라며 "보수층의 하방 지지선이 어디에서 펼쳐질지가 관건인데, 보수층이 요구해왔던 수신제가와 같은 문화적 보수성을 윤 대통령이 얼마나 충족시킬지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태도나 김건희 여사 문제 등 보수층 유권자들이 가진 불만을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내려가도 어디까지 내려가는지가 중요하다‘며 "10%대 초반인지, 후반인지에 따라 크게 다른 양상이 펼쳐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봉신 메타보이스 이사는 "명태균 이슈가 있고 야당에서 특검을 얘기하고 있고, 여당에서 사과 요구까지 나온 상황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있었던 ‘하방 압력’이 걷히지 않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 이사는 "그동안 20% 선을 지탱해주던 보수 성향자나 국민의힘 지지자들이 붙잡아주지 않는 양상을 보이는 데다, 대통령 지지율과 국민의힘 지지율이 탈동조화 흐름을 보이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결국 윤 대통령이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고 봤다. 홍 소장은 일단 지지율부터 끌어올려야 한다고 분석했다. 그는 "보통 대통령 지지율은 (지금까지 한 것에 대한) 후행 평가인 동시에 국정 운영에 대한 동력이기 때문에 지지율이 없으면 국정 동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어 지지율을 먼저 회복하는 것부터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이사는 "윤 대통령은 여당 지도부 얘기를 듣든, 야당 대표와 손을 잡든 해야 한다"며 "지금처럼 버티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돈 아끼려고 삽니다"…불황에 '불티'나게 팔린다...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