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렴한 가격·위생적 서비스 제공 업소에 지정
가게 운영 필요 물품 및 배달비 지원 등 혜택
상인들 "큰 도움 안돼…가격 올리는 게 나아"
9일 찾은 서울 중구의 한 착한가격업소. 10년째 식당을 운영하는 서정희씨(60)는 "주변에 있는 직장인들이 손님의 대부분이라서 식대에 맞춰 가격을 정하다 보니 4년째 착한가격업소로 지정돼왔다"며 "가격을 올리면 그 자격이 안 된다고 하는데 워낙 고물가라 내년에는 가격을 인상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털어놨다.
서씨의 가게는 야채김밥 3000원, 라면 3500원 등 대부분의 메뉴가 인근 가게보다 저렴한 가격대다. 이마저도 지난해 500원씩 올린 것이다. 그는 "처음에는 쓰레기봉투만 주더니 요새는 1년에 두 번 지정된 마트에서 필요한 물건을 살 수 있게 해주고 있지만, 솔직히 큰 도움이 되진 않는다"며 "착한 가격의 가게들이 더 많아지게 하려면 혜택도 늘리고 홍보도 더 잘해줘야 하지 않겠냐"고 말했다.
착한가격업소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지정한 물가안정 모범업소다. 지역 인근 상권을 기준으로 평균 가격보다 저렴하게 판매하고 위생 및 청결 기준을 통과하는 경우 착한가격업소로 지정받을 수 있다. 프랜차이즈 매장은 해당하지 않는다.
해당 사업을 주관하는 행정안전부는 소비자물가 안정에 기여하고 개인 서비스 업소의 매출 증대를 통해 서민경제 살리기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최근 착한가격업소를 확대해나가고 있다. 지정된 업소는 쓰레기봉투나 위생용품, 가게 운영에 필요한 물품 지원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시구 소식지 및 홈페이지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한 홍보가 이뤄진다.
사업을 시작한 2011년에 착한가격업소 개수는 2497개에서 지난해에는 7172개가 됐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24 경제정책방향'에서도 착한가격업소를 연내 1만개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현재 기준으로는 전국의 외식업, 이미용업, 세탁업 등 8519개의 업소가 지정된 상태다.
지정된 업소 수는 처음과 비교해 3배 가까이 늘었지만, 정작 착한가격업소를 운영하는 상인들은 떨떠름한 반응이었다. 혜택이 가게 운영에 큰 도움도 되지 않아 저렴한 가격대를 유지할 만큼의 유인책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받을 수 있는 지원이 지자체마다 차이가 커 혜택이 적은 지역에서는 가격을 올려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서울에서 30년째 식당을 운영하는 서모씨(61)는 "착한가격업소 인증을 받으려면 명세표나 지출증빙서류 등을 다 모아서 제출해야 하고 절차가 너무 까다롭다"며 "혜택도 딱히 없고, 차라리 가격을 올리는 게 낫겠다 싶어 버티다가 결국 얼마 전부터 모든 메뉴를 1000원씩 올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 착한가격업소 인증은 못 받겠지만 별로 아쉽지는 않다“며 "손님들도 단골이 대부분이고 착한가격업소라고 찾아오는 건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2년 연속 착한가격업소로 선정돼왔다는 박은희씨(60)도 "저렴한 가격은 결국 박리다매해야 하는 건데 요즘은 경기가 어려우니 사람 자체가 많이 안 와서 가게 운영이 힘들다"며 "홍보를 더 적극적으로 해줘야 힘든 상황에서도 착한 가격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주요 배달 애플리케이션(앱)과의 배달비 지원 사업도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행안부는 착한가격업소 이용 활성화를 목표로 지난 6월부터 주요 배달 앱과 업무 협약을 맺었다. 배달 앱에서 착한가격업소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2000원의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저렴한 가격으로 가게를 운영하는 입장에서 배달 수수료 등을 감당하기 힘들어 입점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배달 업계 관계자는 "착한가격업소 중 입점한 가게의 숫자를 밝힐 수는 없지만, 해당 쿠폰 사용량이 전체 주문 건 대비로는 많지 않다“며 “해당 제도가 활성화되기에는 배달앱을 이용하고 있는 착한가격업소 가게 수가 충분히 많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배달료 지원 사업에는 국비와 지방비 약 100억원이 투입됐지만, 8월 말까지 예산 소진율은 10.2%에 그쳤다.
행안부는 배달비 지원 사업 등의 한계를 인지하고 있고, 앞으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을 펼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지자체에서 자체적으로 지원해왔다면, 지난해부터 국비가 투입되고 있는 만큼 하반기부터 다양한 혜택 등을 확대할 예정"이라며 "또 유튜브나 숏폼 등 민간 협업을 통한 홍보에도 적극적으로 나서며 착한가격업소 취지를 살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염다연 기자 allsalt@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한국, 그 어느 때보다 위험한 상황"…남침 시나리...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