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초동시각] 암호문 같은 정부의 주택 '공급' 대책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서류상 계약' '소유권 확보' 까지
각자 다른 의미로 쓰는 '공급' 이라는 단어가
부동산 정책 두루뭉술하게 포장

'분양' '착공' '입주'처럼 국민들이 알기쉽게 써야

[초동시각] 암호문 같은 정부의 주택 '공급' 대책
AD
원본보기 아이콘

올해 여름 서울 아파트값이 치솟은 이후, 정부가 가장 많이 쓴 단어는 ‘공급’이었다. 지난달 나온 8·8대책만 봐도 알 수 있다. 당시 정부가 발표한 ‘주거 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확대 방안’과 ‘서울·수도권 42만7000호 공급’ 자료에 있는 ‘공급’이라는 단어를 세어보면 무려 130개에 달한다. ‘공급’으로 시작해서 ‘공급’으로 끝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부가 이렇게 "주택공급을 충분히 할 테니 기다려달라"고 해도 시장은 들은 체 만 체다. 따지고 보면 ‘공급’이라는 단어는 국민들이 평소에 쓰는 말이 아니다. ‘청약’ ‘분양’ ‘입주’ ‘착공’ ‘준공’ 같은 단어들이 훨씬 친숙하고 일반적이다. 국민들과 소통해 집값을 안정시키겠다는 정부가 정작 국민들은 안 쓰는 단어로 정책을 만드는 실정이다. 이쯤 되면 국민들도 부동산 대책에 공감을 안 하는 것이 아니라 못 한다고 보는 게 정확할 것이다.

국토부 자료를 하나하나를 뜯어보면 ‘공급’이라는 단어는 암호처럼 해독해야 하는 존재다. 공무원들에게 "이 자료 제목에서 ‘공급’은 무슨 뜻이냐"고 물어봐야 명확한 대답을 들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029년까지 3기 신도시 23만6000호 공급’(7월18일)에서 공급은 ‘분양’을 말한다. 착공은 분양과 동시에 이뤄진다. 이를 감안하면 2029년까지 분양을 한다고 해도 짓는데 최소 3~4년 이상 더 걸린다. 지금으로부터 10여년은 지나야 저 물량의 3기 신도시 아파트가 다 지어져 입주할 수 있다는 의미가 행간에 숨어 있다.


전세 사기를 당한 빌라를 정부가 경매로 산 다음, 시세보다 저렴한 전세로 풀겠다는 ‘든든전세’ 정책도 해석이 필요하다. ‘HUG 든든전세주택, 2년간 총 1.6만호 공급’(8월22일)에서 ‘공급’은 또 다른 뜻이다. 국토부에 물어보니 "정부가 경매를 통해 해당 빌라의 소유권을 확보하는 것을 공급 기준으로 잡았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주택 하자를 고치고, 입주자를 모집해 실제로 입주까지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정부가 민간사업자와 계약한 걸 ‘공급’으로 정의한 경우도 있다. 정부가 민간이 지은 집을 사서 임대주택으로 운영하는 매입임대 정책이 그런 예다. ‘신축매입임대 2025년까지 11만호 공급’(8월8일)에서 ‘공급’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민간사업자와 서류상 착공 계약을 맺은 것을 의미한다. 계약 후 허가를 받아 건물을 올리고, 다 지은 건물을 LH가 인수한 다음 분양해서 서민들이 살기까지 최소한 2~3년은 더 걸린다.

"‘공급’이 여러 의미로 쓰여서 각자 다 다르다"는 국토부 고위관계자의 말처럼, 공급을 ‘입주’와 동의어로 생각하면 큰코다칠 일이다. 하루라도 빨리 많은 주택이 부동산 시장에 풀릴 거라는 걸 강조하고 싶은 것이 정부 의도라는 건 알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서로 다른 기준을 모두 끌어와 ‘공급’이라는 두루뭉술한 단어로 포장해 내놓는 건, 국민들이 부동산 정책을 이해하는 걸 방해할 뿐이다.


지난 석 달간 틈만 나면 발표했던 부동산 공급 대책보다, 은행 대출 규제가 시장에 훨씬 큰 영향을 주는 것만 봐도 구체적인 설명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실컷 만들어 놓은 부동산 공급 대책이 ‘언어의 문제’로 제 효과를 내지 못하면 국토부 입장에서도 밑지는 장사다. ‘3기 신도시 2029년까지 23만6000호 공급(×)→분양(○)’. 사람들이 단박에 알아채고 못 채고는 이런 한 끗 차이에 달려 있다.





심나영 건설부동산부 차장 sny@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