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취업자 3개월 만에 10만명대…17.2만명↑
건설경기 악화 직격탄 맞은 건설업 고용지수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도 11개월째 감소
지난달 취업자 수 증가 폭이 3개월 만에 10만명을 웃돌면서 두 자릿수대를 회복했다. 하지만 건설업 취업자 수는 11년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했고,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도 11개월 연속 줄어드는 등 고용 취약계층의 어려움은 더욱 커졌다. 정부는 공공건설 투자를 늘리고 건설업 근로자 생계지원을 마련하기로 했다. 고용 감소가 심화할 경우 건설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고용지표 회복에도 건설업은 직격탄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85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7만2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 5월(8만명)과 6월(9만6000명) 두 달 연속 10만명 밑으로 내려갔다가 석 달 만에 다시 10만명대를 회복했다. 다만 3월(17만3000명)과 4월(26만1000명)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규모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 취업자 수 감소가 두드러졌다. 건설업 취업자는 전년 동월보다 8만1000명 줄어 2013년 7차 산업분류 변경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건설업 취업자 수는 지난 5월(-4만7000명)과 6월(-6만6000명) 이후 3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7개월간 증가세를 유지하던 제조업 취업자도 1만1000명 줄어 감소세로 전환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건설경기가 악화하는 가운데 7월 폭염과 폭우 등이 (건설업 취업자 수 감소에)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면서 "종합건설 쪽에서 (취업자가)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고 전문 공사업에서도 3개월 전부터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도 "아파트 입주 물량이 지난 6월과 7월에 바닥을 치면서 전문공사업 등 건설업 취업자 수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1만1000명(0.2%) 감소했다. 서 국장은 이에 대해 "40대 이하 취업자 수는 감소했지만 50대, 60대 이상 취업자 수는 증가하고 있는 데다가 제조업 내에서도 업종별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1만7000명), 정보통신업(8만2000명), 운수·창고업(6만5000명) 등에서는 늘었다. 서비스업은 지난 6월(18만3000명)에 이어 7월에는 28만6000명 늘어 증가 폭이 확대됐다.
자영업자의 감소세도 이어졌다. 비임금근로자는 지난 2월(-5만7000명) 이후 5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이어가 7월에도 8만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1만명 감소해 지난해 9월(-2만명) 이후 11개월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6월(3만4000명)에 이어 지난달에도 4만8000명 늘어났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 취업자(15~29세) 취업자는 14만9000명 줄었다. 청년층 취업자 수는 2022년 11월부터 20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청년 고용률도 0.5%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60대 이상에서 취업자 수는 27만8000명 증가했다. 30대도 11만명, 50대에서 2만3000명 각각 늘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3%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1982년 월간 통계 작성 이래 7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실업자는 73만7000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7만명 줄었다. 실업률도 2.5%로 0.2%포인트 낮아졌다.
정부, 건설업 일자리 긴급 지원
기재부와 고용노동부는 이날 관계 부처 합동 일자리전담반 회의를 열어 ‘건설업 일자리 지원 방안’과 ‘하반기 지역 청년 취업 지원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건설업 일자리 수요를 위해서는 하반기 공공기관 투자 규모를 2조원 확대하고 상반기 지방 공기업 투자 등 미집행액(8조6000억원)을 빠르게 집행하기로 했다. 지난 8일 발표한 ‘주택공급 확대방안’도 신속 추진한다. 기재부와 국토교통부 등은 관계 부처 태스크포스(TF)를 통해 내달 ‘공사비안정화 대책’을 마련해 준공 지연 요인을 줄일 계획이다.
건설 근로자의 맞춤형 고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는 지속 근무 또는 전직 등의 희망 유형별 지원책을 각각 마련한다. 지속 근무 희망자의 경우 구인·구직 정보를 고도화하고 지역과 직종별 인력 수급 상황을 상세히 제공할 예정이다. 건설업 전문성을 높이거나 제조업 등 다른 업종으로 전직을 원하는 이에게는 맞춤형 훈련 과정을 지원한다. 하반기에 1만7000명 대상 특화 훈련을 집중 공급하고 숙련 건설 기능인 양성을 위한 건설기능인 등급제 연계 교육을 대폭 늘리는 식이다.
건설 일용 근로자 훈련 지원은 특별고용지원업종에 준하는 수준으로 확대한다. 다음 달부터 12월까지 내일배움카드를 신규 발급하거나 한도 증액을 신청한 대상자에게 5년간 내일배움카드 한도를 기존 40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올린다. 건설 일용직 근로자 대상의 훈련 생계비 대부 한도는 1000만원에서 1500만원으로 확대한다.
정부는 위기 건설사가 대량으로 고용 변동을 신고할 경우 고용상황반을 구성하고 맞춤형 지원 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체불임금 청산 지원을 위해 임금체불사업주의 융자 요건도 완화한다. 향후 건설업 고용 감소세가 심화할 경우엔 건설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청년 취업을 위해서는 서울(건국대·성신여대)과 경기(단국대), 부산·경남(동의대) 등 전국 단위 8개 대학에서 ‘청년고용올케어 플랫폼 시범 사업’을 이달 실시해 3000명 이상의 미취업 졸업생을 대상으로 채용 연계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김범석 기재부 제1차관은 "건설업, 자영업 취업자 수 감소가 지속하는 데다 청년층을 비롯한 고용 취약계층의 어려움도 이어지고 있다"며 "범부처 일자리전담반 중심으로 부문별 고용 상황을 면밀히 점검해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이은주 기자 golden@asiae.co.kr
세종=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판매 시작도 안 했는데 가격 3배 '껑충' 뛰었다…3...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