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검은 금요일' 코스피 4년만에 최대 낙폭…기관·외인 1.6兆 매도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일 하락률 2020년 8월 이후 최대
삼성전자도 4년여만에 최대 일간 하락률 기록
미국發 쇼크로 국내 증시 직격탄

코스피 지수가 1443일만에 최악의 일간 하락폭을 기록했다. 약 두달만에 종가 기준 2700선도 무너졌다. 미국발(發) 경기침체 우려와 뉴욕 증시 급락의 직격탄을 맞았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코스피는 2일 전장 대비 101.49포인트(3.65%) 하락한 2676.19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종가보다 58.29포인트(2.10%) 하락한 2719.39에 출발한 코스피는 장 초반 하락폭을 만회하지 못하고 오전 중 2700선이 무너졌다. 오후 들어 매도세가 거세지며 결국 2670선까지 밀렸다.


코스피 지수가 종가 기준 2700선을 하회한 것은 지난 6월 5일(종가 2689.50) 이후 처음이다. 또한 2020년 8월 20일 3.66% 하락 이후 일간 최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투자 주체별로 보면 외국인이 8440억원, 기관이 7796억원을 각각 순매도했다. 합계 1조6236억원이다. 반면 개인은 1조6197억원을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통신업(0.53%)을 제외한 모든 업종이 하락했다. 특히 기계(-5.42%)와 전기전자(-4.77%), 증권(-4.43%), 제조업(-3.97%), 금융업(-3.94%)은 지수보다 더욱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60종목이 오름세, 871종목이 내림세, 5종목이 보합으로 마감했다. 시총 상위 10개 종목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 (0.75%)을 제외한 모든 종목이 하락으로 거래를 마쳤다. 대장주 삼성전자 는 4.21% 하락한 7만9600원으로 마감하며 '8만 전자'가 무너졌다. 삼성전자는 2020년 6월 15일 4.91% 하락한 이후 1509일만에 최고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10.40%), 현대차 (-3.75%), 기아 (-4.46%), KB금융 (-5.76%) 등도 매도세가 거셌다.


전날 미 증시는 경기 침체 우려가 불거지며 3대 지수가 일제히 1% 넘게 급락했다.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최근 1년내 최고 수치로 치솟았으며 미국 공급관리협회(ISM)의 6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지난해 11월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김동원·김민규·하인환 KB증권 연구원은 하락 배경으로 ▲ 경기둔화 우려 ▲ 엔비디아 급락 ▲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 중동 전쟁 재부각 등 4가지를 짚었다. 이들은 "하락폭이 큰 종목은 대부분 올해 많이 올랐던 종목이지만 올해 수익률이 저조했던 종목들 역시 낙폭이 큰 종목이 많았다"며 "실적이 이미 좋아진 상태에서 밸류에이션이 움직일 수 있는 금융과 소비주 선호를 유지한다"고 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4.20%(34.20포인트) 하락한 779.33에 거래를 마쳤다. 2023년 11월 13일 774.42 이후 263일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며, 하락률은 2022년 9월 26일 -5.07% 이후 최대였다.


투자 주체별로 보면 외국인이 1506억원, 기관이 899억원을 팔았다. 개인은 2445억원을 순매수했다.


146종목이 오름세, 1476종목이 내림세였다. 35종목은 보합이었다. 시총 상위 종목 중 코스닥 대장주인 에코프로비엠(0.43%)만 상승 마감했을뿐 나머지는 모두 하락으로 거래를 마쳤다. 특히 엔켐 (-4.51%), 셀트로온제약(-8.91%), 리가켐바이오 (-5.22%), 휴젤 (-4.46%), 리노공업 (-6.00%), 클래시스 (5.92%) 등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오유교 기자 5625@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