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항저우 선수촌 식당, 먹다 토할 듯" 썼다 삭제…中커제 무슨 일이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논란 후 "영양소 풍부" 칭찬 영상 다시 올려
'중국 정부가 개입한 것' 의혹 제기·확산

항저우 아시안게임이 오는 23일 개막을 앞둔 가운데, 국내에도 잘 알려진 중국의 바둑 기사 커제(26)가 선수촌에서 식사하다 "토할 것 같다"고 불평하는 영상이 소셜미디어에서 확산하고 있다.


그러나 이 영상은 커제의 사회연결망서비스(SNS)에서 갑자기 삭제된 데 이어 최근에는 "정말 맛있는 식사를 했다"고 칭찬 가득한 영상만이 그의 SNS에 올라오고 있다.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둔 중국어 매체 NTD TV에 따르면, 커제는 지난 11일 자신의 SNS에 아시안게임 출전 준비를 하며 선수촌에서 식사하는 영상을 올렸다.


양고기를 먹던 커제는 냄새가 심하다며 "토할 것 같다. 이거 먹고 차에 탔으면 입덧했을 것 같다"고 했다. 얼굴을 찌푸리던 커제는 간장 양념에 흰밥만으로 배를 채웠다. [사진출처=커제 틱톡]

양고기를 먹던 커제는 냄새가 심하다며 "토할 것 같다. 이거 먹고 차에 탔으면 입덧했을 것 같다"고 했다. 얼굴을 찌푸리던 커제는 간장 양념에 흰밥만으로 배를 채웠다. [사진출처=커제 틱톡]

AD
원본보기 아이콘

그는 영상에서 생선에는 가시만 많았고, 돼지고기에는 털이 많이 남아 있었으며 일부 음식은 3위안(약 500원)짜리 냉동식품이었다고 혹평했다. 특히 양고기를 먹던 커제는 냄새가 심하다며 "토할 것 같다. 이거 먹고 차에 탔으면 입덧했을 것 같다"고 했다. 얼굴을 찌푸리던 커제는 간장 양념에 흰밥만으로 배를 채웠다.

중국 최고의 바둑기사는 커제는 36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한 인플루언서다. 그가 올린 해당 영상은 SNS에서 빠르게 확산했다. 그러나 커제의 영상은 돌연 온라인에서 삭제됐다.

커제는 이후 SNS에 "당신이 원하는 아시안게임 식사는 여기 있다"며 새로운 영상을 올렸다. 영상의 분위기는 이전과 180도 달라졌다. 새우부터 각종 고기, 신선한 채소까지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그릇에 가득 담아온 커제는 맛있게 먹는 모습까지 보여줬다. [사진출처=커제 틱톡]

커제는 이후 SNS에 "당신이 원하는 아시안게임 식사는 여기 있다"며 새로운 영상을 올렸다. 영상의 분위기는 이전과 180도 달라졌다. 새우부터 각종 고기, 신선한 채소까지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그릇에 가득 담아온 커제는 맛있게 먹는 모습까지 보여줬다. [사진출처=커제 틱톡]

원본보기 아이콘

커제는 이후 SNS에 "당신이 원하는 아시안게임 식사는 여기 있다"며 새로운 영상을 올렸다. 영상의 분위기는 이전과 180도 달라졌다. 새우부터 각종 고기, 신선한 채소까지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그릇에 가득 담아온 커제는 맛있게 먹는 모습까지 보여줬다.

커제는 3일 전에도 '아시안게임 준비 일기'라며 또 다른 영상을 올렸다. 이 영상에서도 그는 선수촌 식사에 대한 칭찬을 이어갔다. 다양한 음식을 담아온 후 식사하고, 빈 접시를 보여준 후 "보셨죠? 정말 맛있는 식사를 했다"며 "사실 지금 우리가 먹는 건 아시안게임 정식 선수촌에서 제공하는 식사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아시안게임 선수촌에서는 이것보다 더 비싸고 다양한 종류의 음식이 제공될 거라고 한다. 그리고 가장 정통적인 항저우 음식도 맛볼 수 있다"며 "진짜 좋은 날은 아직 오지 않았다"고 했다. 커제가 한 이 말들은 중국어 자막과 함께 영어 자막으로도 제공됐다.

지난해 2월 열린 베이징올림픽 선수촌 식당에서도 '역대 최악의 식단'이라는 평가가 나온 바 있다. 선수들은 대부분의 식단이 너무 기름지고 품질이 좋지 않다고 했다. 한국 선수단은 대한체육회가 제공하는 한식 도시락을 먹었지만, 다른 나라의 선수들은 선수촌의 부실한 식단 사진을 SNS에 올리며 불만을 토로했다.


여기에 자국 내 스타인 커제까지 불평을 내놓자 이를 의식한 중국 정부가 커제의 영상을 삭제하고, 새로운 영상을 올리도록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알고 봐도 열받네" 흥분·분노도 인증샷…'서울의봄' 심박수 챌린지 "꽈추형, 직장내 괴롭힘으로 권고사직 서명" 또다른 폭로 조민, '부적절하다' 식약처 지적에도…"분석해보니 성분 좋아" 또 홍삼 광고

    #국내이슈

  • 질문에 "잠깐 확인 좀" 국회서 폰 꺼냈다 혼난 日고노 스마트폰 하느라 환자 방치한 의료진…결국 '물 과다 섭취'로 사망한 英여성 "최소 1억" 英다이애나 분홍 블라우스, 경매 나온다

    #해외이슈

  • [포토] 민주당, 철회했던 이동관 탄핵안 다시 발의 [포토]D-1 준비된 부산 [포토] 움츠린 출근길

    #포토PICK

  • [포토] 볼보 순수 전기 SUV '볼보 EX30' 국내 최초 공개 포르셰, '아빠들의 드림카' 파나메라 완전변경 모델 공개 현대차, 신형 투싼 디자인 공개

    #CAR라이프

  • [뉴스속 용어]전쟁 나면 한 달도 못 버티는 '155㎜ 항력감소 고폭탄' [뉴스속 인물]네덜란드 극우 이끄는 '유럽의 트럼프', 헤이르트 빌더르스 [뉴스속 용어]정의선·블랙핑크가 받은 '대영제국훈장'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