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품 경매 전 매일 세슘농도 체크
해양 방사능 매월 75곳 긴급 조사
"우선 고등어, 삼치 샘플링을 먼저하고, 하역작업이 끝나면 바로 갈치를 하겠습니다."
지난 15일 새벽 3시 부산 공동어시장. 어둠이 짙게 깔린 새벽 대한수산질병관리사회 소속 이대욱 검사원은 하얀 비닐봉지를 들고 어시장을 빠르게 가로질렀다. 수산물 방사능 안전성 신속 검사를 위해 이날 어획된 어종의 표본 채취를 위해서다. 오전 6시 경매 시작 전 방사능 검사를 완료해야만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한 표본 채취가 관건이다.
검사원은 하역을 끝낸 고등어와 삼치를 무작위로 골라 수거 봉지에 담았다. 수산물 표본은 어종별로 각 3㎏씩이다. 검사를 위해 식용 부분을 뜻하는 '가식부' 기준 1㎏의 시료가 필요한 만큼 넉넉하게 채취하는 셈이다. 어획한 어패류의 신속검사는 지난 7월 24일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함께 시작했다. 그동안 신속검사를 진행한 어종은 80여종, 1100여건 규모다.
신속검사와 별도로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지금까지 진행한 수산물 방사능 검사는 8만건에 달한다. 국내 식품 방사능 검사는 세슘 기준 100 베크렐(Bq/kg)이다. 국제 기준인 1000베크렐 대비 10배 이상 엄격하고, 미국(1200Bq/kg)보다 높다. 윤기준 해양수산부 유통정책과 사무관은 "그동안 수산물 방사능 검사에서 부적합을 받은 사례는 단 한 차례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해수부는 계절마다 어종의 차이를 고려해 전국 43개 위판장 중 현재 29곳에서 우리나라의 어패류 품종을 모두 검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채취한 시료는 수산물품질관리원으로 옮겨져 요오드, 세슘134, 세슘137 등 핵종의 방사능 농도 검사를 진행한다. 검사를 위해 어류의 가식부를 잘라내 반죽 상태로 만든다. 시료를 균질화해 검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이후 감마핵종분석기에 넣어 방사능 농도를 측정해 결과값을 얻는다. 이날 검사한 표본에서는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아 정상적으로 경매를 진행할 수 있었다.
방사능 안전성 검사는 수산물뿐만 아니라 해역에서도 실시한다. 해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다. 14일 부산항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약 13㎞ 떨어진 남동해역에서는 해양환경공단 소속 조사원이 '로제트 샘플러'(Rosette sampler)라는 시료채취 장비를 통해 해수 방사능 검사를 진행했다. 원통 모양의 로제트 샘플러를 바다에 넣어 표층수를 채취한 후 염산을 추가했다. 공단 관계자는 "해수의 수소이온 농도 지수(pH)를 산성으로 유지해야 방사성 물질이 저장 용기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채취한 해수는 방사능 농도 조사를 위해 해양환경조사연구원 방사능 분석실로 이동한다. 연구원은 해수 중 존재하는 방사성 세슘을 시약에 흡착해 침전시킨 후 최종 시료를 통해 세슘 농도를 분석한다. 해수부는 2015년부터 해양 방사능 조사를 실시해오고 있는 가운데 내년부터는 조사정점(위치)을 올해 200곳에서 내년 243곳까지 늘릴 계획이다. 특히 75개 긴급조사 정점은 매달 검사를 실시한다. 한국에 들어오는 해류의 영향 방향, 범위 등을 고려해 서남, 남서, 남중, 남동, 제주해역 등 총 5개 권역별로 나눠 각 권역당 5개 시료를 매월 3차례 채취한다. 한기준 해양환경공단 이사장은 "해양방사능 긴급 조사를 통해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출과 관련한 우리 해역의 안전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탄핵 표결' 급물살…與, 공개 찬성 나오기 시작 마스크영역<ⓒ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