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끼워팔기' 효과?…유튜브 뮤직, 토종앱 멜론 제쳤다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끼워팔기' 효과?…유튜브 뮤직, 토종앱 멜론 제쳤다
AD
원본보기 아이콘

구글 '유튜브 뮤직'이 국내 음원서비스 시장에서 토종 애플리케이션 '멜론'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앱·통계 분석 업체인 와이즈앱은 4월 기준으로 유튜브 뮤직 앱의 월 실제 사용자 수(MAU)가 역대 최대치인 521만명으로 기록됐다고 7일 밝혔다. 스마트폰 이용자 3871만명을 표본 조사한 결과다.

유튜브 뮤직은 매년 가파른 성장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초 국내 서비스 시작 때 64만명 수준에 불과했지만, 2021년 4월 277만명으로 증가했다. 이어 지난해 4월 400만명을 기록한 뒤 1년 사이 121만명이 급증했다.


유튜브 뮤직의 급성장을 두고 음원 업계에서는 '끼워팔기' 효과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유튜브 뮤직만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월 8000원대의 요금을 내야한다. 하지만 구글은 월 1만405원에 광고 없이 유튜브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유튜브 프리미엄' 가입자에게 유튜브 뮤직을 덤으로 제공한다.


유튜브 뮤직의 성장세에 토종 음원서비스는 입지를 잃어 가고 있다. 2021년 멜론은 사용자 수가 474만명으로 유튜브 뮤직과 약 200만명 격차를 보였다. 하지만 지난해 격차가 50만명으로 줄어든 뒤 올해 결국 역전당하고 말았다.

사용자 수가 가장 많이 감소한 음원 서비스에는 토종 앱인 '지니뮤직'이 올랐다. 지난해 4월 231만명에서 올해 4월 203만명으로 28만명 감소했다. 같은 기간 플로 23만명, 카카오뮤직 4만명, 벅스 3만명, 네이버 바이브 3만명씩 줄었다.


이번 조사에서 국내에서 월 사용자 수가 가장 많은 음원서비스는 유튜브 뮤직(521만명), 멜론(459만명), 지니뮤직(203만명), 플로(128만명), 네이버바이브(110만명), 스포티파이(63만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故정주영 회장 63세 며느리, 태극마크 달고 아시안게임 출전한다 농심, '먹태깡' 돌풍 여전…"600만봉 넘었다" "당 대표 체포안 통과에 웃음이 나냐" 개딸 타깃된 고민정

    #국내이슈

  • '폭군' 네로 황제가 세운 궁전… 50년 만에 재개장 [르포]"새벽 1시에 왔어요" 中, 아이폰 사랑은 변함없었다 "연주에 방해된다" 젖꼭지까지 제거한 일본 기타리스트

    #해외이슈

  • [포토] 무거운 표정의 민주당 최고위원들 조국·조민 책, 나란히 베스트셀러 올라 [아시안게임]韓축구대표팀, 태국 4대 0 대파…조 1위 16강 진출(종합)

    #포토PICK

  • 현대차 "안드로이드 오토·애플 카플레이, 무선으로 즐기세요" 기아, 2000만원대 레이 전기차 출시 200만원 낮추고 100만㎞ 보증…KG 새 전기차 파격마케팅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폭스 회장직 물려받은 머독의 장남, 라클런 머독 [뉴스속 용어]헌정사 처음 가결 '국무총리 해임건의안' [뉴스속 용어]'연료비조정단가' 전기요금 동결 신호?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