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가구 학원비 지출 26.2% 늘어
올해 1분기 '적자 살림'을 기록한 서민 가구가 교육비 지출은 30% 넘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통계청 가계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1분기 월평균 교육비 지출은 3만 4282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8898원(35.1%)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가구의 평균 교육비 상승률은 3.8%에 그쳤다.
교육비 지출 세부 항목으로는 정규교육비 지출이 41.4% 늘었고, 학원 및 보습교육 지출도 26.2% 상승했다.
두 항목 모두 모든 분위를 통틀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정규교육 가운데는 고등교육(2년제 대학 이상 정규 교육기관 교육 서비스에 지출하는 비용) 지출이 86.8% 증가해 가장 많이 늘었다.
학원 및 보습교육 중에는 성인 학원 교육 지출이 186.2% 증가했다.
수입보다 지출이 많은 '적자 살림'을 사는 서민 가구의 교육비 지출이 평균보다 훨씬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보건·주거 등 관련 지출도 증가
보건 관련 지출의 증가도 해당 분위에서 두드러졌다.
1분기 1분위 가구의 보건 지출은 18만 3949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만 2818원(21.7%) 늘었다. 2013년 3분기(28.9%) 이후 최대 상승률이다.
전체 가구의 평균 보건 지출 증가율인 7.7%보다 세 배가량 증가 폭이 컸다.
세부적으로는 의약품 지출이 12.7% 상승했고, 보건 의료용품 및 기구 지출도 25.7% 늘었다. 입원 서비스 지출도 43.5% 늘었다.
주거·수도·광열 지출 역시 1분위에서 가장 큰 폭(15.7%)으로 증가했다.
전기·가스요금 상승의 영향으로 연료비 지출이 작년 동기보다 26.1% 늘었다. 아울러 월세 등을 포함한 실제 주거비도 6.6% 증가했다.
1분위 가구 월평균 46만원 적자
한편 올해 1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평균 처분 가능 소득은 85만 8389원이었다.
소비지출은 131만 9041원으로, 가구당 월평균 46만 1000원가량의 적자를 기록했다.
작년 동기 31만 3000원의 적자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적자 폭은 47.2% 증가했다.
구나리 인턴기자 forsythia26@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