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특징주]피플바이오, 미국 기업 치매치료제 FDA 연달아 승인…조기진단 기술 부각↑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피플바이오 가 강세다. 미국 제약사들이 개발한 치매치료제들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연달아 획득하면서 치매 조기 진단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오전 9시30분 현재 피플바이오는 전일 대비 3.04% 상승한 1만1180원에 거래되고 있다.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지난해 바이오젠·에자이가 공동 개발한 '아두헬름(성분명 아두카누맙)'에 이어 역시 이들이 개발한 '레켐비(성분명 레카네맙)'를 승인했다. 이에 더해 최근 일라이 릴리가 개발 중인 '도나네맙'이 임상 3상에서 인지·일상생활 능력 감소를 35% 늦추며 임상에 성공해 승인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에 치매 치료제 시장의 개화와 동시에 조기 진단의 중요성도 함께 대두되고 있다. 빠르게 증상 초기에 발병 여부를 확인해 제때 약을 써야 제대로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글로벌 시장조사기업 잉크우드리서치는 치매 진단 시장이 2020년 15억9800만달러에서 연평균 4.5% 성장해 2025년에는 19억8900만달러(약 2조65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현재 치매 진단법은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또는 뇌척수액 검사가 주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PET은 비급여 항목이어서 100만원이 훌쩍 넘는 비용을 환자가 부담해야 하는 실정이다. 뇌척수액 검사는 50만원 수준으로 비용이 절반 수준이지만 검체를 얻기 쉽지 않고 환자의 불편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혈액을 통해 알츠하이머를 진단하는 기법이 개발되면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이유다.

피플바이오는 지난해 알츠하이머 혈액 진단 브랜드 '알츠온(AlzOn)'을 론칭하면서 이미 상용화에 나섰다. 임상에서 민감도 100%, 특이도 92%를 확인했다는 설명이다. 해외 판로 확대를 위해 일본, 미국 등으로의 진출도 추진하고 있다. 회사 매출도 급성장해 지난해 연 매출 44억원을 달성한 데 이어 올해는 100억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장효원 기자 specialjhw@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故정주영 회장 63세 며느리, 태극마크 달고 아시안게임 출전한다 농심, '먹태깡' 돌풍 여전…"600만봉 넘었다" "당 대표 체포안 통과에 웃음이 나냐" 개딸 타깃된 고민정

    #국내이슈

  • '폭군' 네로 황제가 세운 궁전… 50년 만에 재개장 [르포]"새벽 1시에 왔어요" 中, 아이폰 사랑은 변함없었다 "연주에 방해된다" 젖꼭지까지 제거한 일본 기타리스트

    #해외이슈

  • [포토] 무거운 표정의 민주당 최고위원들 조국·조민 책, 나란히 베스트셀러 올라 [아시안게임]韓축구대표팀, 태국 4대 0 대파…조 1위 16강 진출(종합)

    #포토PICK

  • 현대차 "안드로이드 오토·애플 카플레이, 무선으로 즐기세요" 기아, 2000만원대 레이 전기차 출시 200만원 낮추고 100만㎞ 보증…KG 새 전기차 파격마케팅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폭스 회장직 물려받은 머독의 장남, 라클런 머독 [뉴스속 용어]헌정사 처음 가결 '국무총리 해임건의안' [뉴스속 용어]'연료비조정단가' 전기요금 동결 신호?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