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한덕수 국무총리를 만나 2025 APEC 정상회의 경주 유치를 건의하며 빠른 행보를 이어갔다.
이철우 지사는 경주가 2025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할 최적의 도시임을 자부하며 주낙영 경주시장, 김석기 국회의원과 함께 지난 27일 한덕수 국무총리를 면담하고, 현 정부의 지방시대 실현 차원에서 경주에 2025 APEC 정상회의가 유치될 수 있도록 경쟁도시보다 선제적으로 건의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2025 아펙 정상회의 경주유치를 건의한 뒤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사진 오른쪽부터 이철우 지사, 주낙영 경주시장, 한덕수 총리, 김석기 국민의힘 의원)
경주는 현재 유치 경쟁도시 중 유일한 중소 기초자치단체로 APEC 정상회의 개최를 통해 국정과제인 지방균형발전 실현과 관광 경제 활성화에 안성맞춤이라는 것이다. APEC이 채택한 ‘비전 2040’의 포용적 성장을 실천하는 최적 개최지임을 내세우고 있다.
경주는 APEC교육장관회의(2012), 제7차 세계물포럼(2015), 제6회 세계인문학포럼(2020) 등 최근 10년간 대형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경험을 바탕으로 2025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할 충분한 역량을 갖췄다고 보고 있다.
경주에는 보문단지 내 반경 1.5㎞ 이내에 모든 숙박시설과 회의장이 있고 여타 후보도시와 달리 바다에 접해있지 않고 3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각국 정상의 경호와 안전에 통제가 가능하다는 것도 이점이다.
또 준비된 국제회의(마이스 중심) 도시로 APEC 21개 회원국의 정상·수행원·기자단 등을 수용할 충분한 숙박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 회의장인 화백컨벤션센터가 2025년 증축 완료 예정으로 대규모 정상회의 개최에 손색이 없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경주는 대한민국 역사문화를 자랑하는 대표적 도시이자 가장 한국적인 도시로 아름다운 한국문화를 전 세계에 홍보할 수 있는 기회이다.
경주시는 대한민국 경제발전 경험과 원전세일즈 최적 도시로 산업발전 중심지인 포항(철강), 구미(전자 반도체), 울산(자동차 조선)이 인접해 있어 개발국 정상과 각국 영부인을 위한 일정 추진이 쉽다는 점도 내세우고 있다. 1~2시간 이내 접근 가능한 김해공항, 대구공항, KTX역을 갖추고 있어 최적의 조건도 갖췄다고 알리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최적 요건을 갖춘 경주에서 2025 APEC 정상회의가 개최되면 21개국 정상이 함께 모여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과 무역·투자 증진 방안 등을 지방에서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중앙정부도 지방의 다양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고, 경북도가 반드시 ‘2025 APEC 정상회의’를 경주에 유치해 새로운 지방시대를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이철우 도지사는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2025 APEC 정상회의 유치 건의와 더불어 2023 전국생활체육대축전 참석, 구미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 포항 이차전지 양극소재 특화단지 지정 등 도정 주요 현안을 건의하고 지역 산업 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특화단지 지정에 힘써 줄 것을 요청했다.
영남취재본부 구대선 기자 k5865@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